고체상추출법과 GC/MS를 이용한 수질 환경 시료 중 아크릴아마이드 분석방법 연구

목적:본 연구는 수질 측정용 시료에서 아크릴아마이드에 관한 분석방법이다. 추출과 정제를 동시에 할 수 있는 SPE법을 적용하고 가스크로마그래피/질량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시판되고 있는 4가지 SPE 상품(SupelcleanTM Coconut Charcoal, ENVITM–Carb, ODS C18, Oasis HLB)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유도체화 반응의 최적화를 통하여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알려진 아크릴아마이드 분석의 최적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하수종말처리장의 아크릴아마이드를 분석하기 위한 최적의 SPE 카트리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19, 41(10), , pp.572-581
Hauptverfasser: 유대영(Dae-Young Yu), 서하늘(Ha-Neul Seo), 장철현(Cheol-Hyeon Ch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본 연구는 수질 측정용 시료에서 아크릴아마이드에 관한 분석방법이다. 추출과 정제를 동시에 할 수 있는 SPE법을 적용하고 가스크로마그래피/질량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시판되고 있는 4가지 SPE 상품(SupelcleanTM Coconut Charcoal, ENVITM–Carb, ODS C18, Oasis HLB)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유도체화 반응의 최적화를 통하여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알려진 아크릴아마이드 분석의 최적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하수종말처리장의 아크릴아마이드를 분석하기 위한 최적의 SPE 카트리지 선정은 특성이 다른 Coconut Charcoal, ENVITM –Carb, ODS C18 및 Oasis HLB의 4종류에 대하여 아크릴아마이드 표준용액을 카트리지에 흘려준 다음 건조하고 탈착하여 회수율로 최적의 카트리지를 선정하였다. 탈착용매의 부피는 카트리지에 흡착된 아크릴아마이드가 완전히 탈착하는 메탄올의 부피로 결정하였다. 브롬 유도체화 반응의 최적 시간, 최적 pH 및 반응생성물의 추출 용매를 선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최적 반응시간은 표준용액에 브롬 유도체화 시약을 첨가하여 일정 시간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회수율로 결정하였다. 추출용매의 선정은 유도체화 반응생성물을 EA,‎dichloromethane (DCM), diethyl ether 및 chloroform으로 추출하여 회수율이 가장 높은 용매를 추출용매로 선정하였다. 최적 pH는 pH 1.5~9까지 산성 영역은 HBr, 알카리 영역은 KOH로 조절한 다음 브롬 유도체화 반응을 거친 후 EA로 추출하고 회수율을 분석하여 최적의 pH 조건을 결정하였다. 결과 및 토의:활성탄이 장착된 SupelcleanTM Coconut Charcoal 카트리지가 98.8% 회수율을 보여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탈착용매의 부피는 12 mL로 결정하였다. 최적의 브롬 유도체화 반응시간: 3시간, pH: 1.5, 추출용매: EA가 가장 적합하였다. 또한 분석방법 검증 실험에서 상관계수 R2 값이 0.9981로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방법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1.19 µg/L 및 3.79 µg/L, 일내 정확도는 100.6~101.7%이었으며, 정밀도는 3.2~3.5%이었다. 일간 정확도는 95.7~97.4%이었으며, 정밀도는 4.3~8.0%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방법으로 6개의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의 경우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5월 0.008~0.017 µg/L, 6월 0.009~0.14 µg/L, 7월 N.D.~0.02 µg/L 수준이었다. 결론:SPE법을 적용하여 가스크로마그래피/질량분석법으로 환경매체 중 수질측정용 분석시료에 대해 아크릴아마이드 분석방법을 확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료 전처리 과정에서 SupelcleanTM Coconut Charcoal 카트리지를 사용함으로써, 시료의 농축이 가능하고 효과적으로 방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다. 브롬 유도체화 반응의 최적조건은 pH 1.5, 4℃에서 3시간으로 나타났고 브롬 유도체화 반응 생성물의 추출용매는 EA가 가장 양호하였다. 6개의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5월 0.008~0.017 µg/L, 6월 0.009~0.14 µg/L 및 7월 N.D.~0.02 µg/L 수준이었다. Objectives: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analysis method used for acrylamide (AA) an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AA in influent and effluent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in Korea. A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is commonly used for AA analysis of complex samples because it is fast, simple and effective. However, the disadvantages of LC–MS/MS include its relatively high operational cost, low sample throughput, and low sensitivi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ovel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A in complex environmental water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combined with the derivatization with bromine following solid-phase extraction (SPE). Methods:This work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novel SPE and GC/MS method for the analysis of AA in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19.41.10.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