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고위험 입원환자를 위한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본 연구는 자살 고위험 입원환자를 위한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긍정심리성향 및 역량강화, 자살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은King의 목표달성이론을 연구의 개념적 기틀로 하였다. 만 19세 이상의 우울증, 성격장애 입원환자 중자살 고위험으로 분류된 5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에게는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 대조군에게는 일반적인 정신건강의학과 활동 요법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자살 고위험 환자에게긍정심리와 자기역량을 증가시키고, 자살 생각을 감소...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2019, 27(3), , pp.240-250 |
---|---|
Hauptverfasser: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자살 고위험 입원환자를 위한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긍정심리성향 및 역량강화, 자살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은King의 목표달성이론을 연구의 개념적 기틀로 하였다. 만 19세 이상의 우울증, 성격장애 입원환자 중자살 고위험으로 분류된 5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에게는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 대조군에게는 일반적인 정신건강의학과 활동 요법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자살 고위험 환자에게긍정심리와 자기역량을 증가시키고, 자살 생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은 추후 자살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자살 고위험환자 간호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uses a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to develop of a self-empowerment intervention program for for inpatient at high risk of suicide, and to assess its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gratitude, optimism, Self-esteem), empowerment and suicide ide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6.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8 sessions of self-empowerment intervention program. The control group was granted general intervention program to the psychiatric war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SPSS Win 20.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proposed self-empowerment intervention program for inpatient at high risk of suicide had the effect of improving positive emotions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gratitude, and optimism, self-esteem), empowerment and reducing the suicide ideation.
Conclusions: The program,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King’s theory of goal attainment, will serve as a useful reference in developing standard guidelines for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suicide prevention in psychiatric department.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intensive nursing care for inpatient at high risk of suicide.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9.27.3.2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