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부산물 전구물질(NOM) 제거를 위한 응집공정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소독부산물이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제기되면서 보다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수처리 공정 기술 개발에 많은 관심이집중되고 있다. 소독부산물 형성을 줄이기 위한 NOM 제거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응집 공정은 NOM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M의 특성과 소독부산물 형성의 관계를 조사하고, 소독부산물의 감소를 위해 NOM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한 최적의 응집 조건을 알아내는 것이다. 황산알루미늄과 제2염화철의 최적 응집 조건은0.15 mM 응집제 주입량에서 pH 5.5로 나타났다. pH 5.5 조...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19, 41(6), , pp.321-327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소독부산물이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제기되면서 보다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수처리 공정 기술 개발에 많은 관심이집중되고 있다. 소독부산물 형성을 줄이기 위한 NOM 제거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응집 공정은 NOM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M의 특성과 소독부산물 형성의 관계를 조사하고, 소독부산물의 감소를 위해 NOM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한 최적의 응집 조건을 알아내는 것이다. 황산알루미늄과 제2염화철의 최적 응집 조건은0.15 mM 응집제 주입량에서 pH 5.5로 나타났다. pH 5.5 조건에서 0.15 mM의 제2염화철의 주입한 경우 용존유기탄소는 55% 제거, 트리할로메탄은 65%, 할로아세틱애시드는 67% 감소하였다. 황산알루미늄의 경우 용존유기탄소는 46.3%, 트리할로메탄은 61%, 할로아세틱애시드는 49% 감소하였다. 원수의 pH가 낮을수록 응집공정에 의해 NOM의 제거는 증가하였고 소독부산물 생성은 감소하였다. 또한 제2염화철이 황산알루미늄보다 NOM을 제거하고, DBPs 생성을 감소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As the problems of disinfect by-products (DBPs) around the world become an issue,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more reliable and efficient water treatment processing technologies. The removal of NOM to reduce the formation of DBPs is increasingly important. Facilitating the removal of NOM is one of the key reasons for using coagula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perties of NOM precursors and DBPs formation, and find out the optimum coagulantion conditions for efficient removal of NOM to reduce the amount of DPBs formation.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alum and ferric chloride coagulation pH for removal of NOM was 5.5 with 0.15mM coagulant dose. When adjusting pH to 5.5 with 0.15 mM ferric chloride 55% DOC removal, 81.7% THMs reduction and 89.4% HAAs reduction was achieved. when using alum 46.3% DOC removal, 70.2% THMs reduction and 74.7% HAAs reduction was achieved. The results showed that lowering pH of raw water increased the removal of NOM during coagulation process and reduced DBPs formation. Also, ferric chloride was more effectively than alum for remove NOM and reduce DBPs form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19.41.6.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