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슈렘관 스텐트 삽입술: 체계적 문헌고찰

녹내장은 실명을 유발하는 만성 시신경질환으로 병인은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안압 상승이 중요한 위험인자로 한번 시신경 손상을 입으면 회복이 어려우므로 지속적으로 낮은 안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1,2]. 안압 조절의 일차적인 치료는 약물치료이지만, 일부 약제의 경우 천식이나 심부전증 환자에게는 사용이 금지되고 전신 부작용이발생하여 약물치료만으로는 안압 조절이 어렵우므로 가능한모든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안압이 조절되지 않거나 시야변화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요법을 시행한다[3-5]. 수술적 요법에는 섬유주절제술, 방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aehan Ŭisa Hyŏphoe chi 2016, 59(8), 679, pp.637-643
1. Verfasser: 조선영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녹내장은 실명을 유발하는 만성 시신경질환으로 병인은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안압 상승이 중요한 위험인자로 한번 시신경 손상을 입으면 회복이 어려우므로 지속적으로 낮은 안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1,2]. 안압 조절의 일차적인 치료는 약물치료이지만, 일부 약제의 경우 천식이나 심부전증 환자에게는 사용이 금지되고 전신 부작용이발생하여 약물치료만으로는 안압 조절이 어렵우므로 가능한모든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안압이 조절되지 않거나 시야변화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요법을 시행한다[3-5]. 수술적 요법에는 섬유주절제술, 방수유출관삽입술 등이 있으나, 침습적인 수술방법으로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최소침습 녹내장 수술(micro-invasive glaucoma surgery)이 개발되고 있으며, 녹내장 슈렘관 스텐트 삽입술이 그 중 하나이다[6-8].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 목록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신의료기술인 녹내장슈렘관 스텐트 삽입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평가하였다. Schlemm’s canal stent insertion is a procedure for controlling the intraocular pressure by inserting a stent in the anterior chamber in patients with open-angle glaucoma.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Schlemm’s canal stent insertion for glaucoma. Searches of key databases, including 8 Korean databases, Medline, Embase, and Cochrane Library, were searched. Among 249 articles located in the search, a total of 14 studies (4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10 case ser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wo review authors independently selected the studies and assessed their quality. On the basis of current data, we recommend that Schlemm’s canal stent insertion is safe and effective for reducing intraocular pressure and the number of anti-glaucoma medications being administered for patients with open angle glaucoma. KCI Citation Count: 0
ISSN:1975-8456
DOI:10.5124/jkma.2016.59.8.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