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병동 간호사의 병원감염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이행도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의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이행도의 파악을 통해 표준주의 이행도를 증진시켜 병원감염을 예방하고 효율적인 실천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제공을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인 아동병동 간호사의 대상자의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는 이행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도와 이행도의 점수 차이가 제일 큰 영역은 보호 장구 영역이었다. 또한 표준주의 인지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표준주의 이행도는 연령, 총 임상 경력, 아동병동 임상 경력, 근무 부서, 표준주의 교육 경험에 따라 표준주의 이행도가...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1, 17(4), , pp.238-246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의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이행도의 파악을 통해 표준주의 이행도를 증진시켜 병원감염을 예방하고 효율적인 실천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제공을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인 아동병동 간호사의 대상자의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는 이행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도와 이행도의 점수 차이가 제일 큰 영역은 보호 장구 영역이었다. 또한 표준주의 인지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표준주의 이행도는 연령, 총 임상 경력, 아동병동 임상 경력, 근무 부서, 표준주의 교육 경험에 따라 표준주의 이행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가 인지한 표준주의 인지도와 이행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이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감염 관리정책 개발, 표준주의의 적극적인 홍보, 적절한 개인 보호 장구의 구비 및 제공,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 모니터 등이 필요하다. 또한 추후 연구로는 표준주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아동병동 간호사를 위한 표준주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표준주의 인지도와 이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를 위해 기 개발된 표준주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diatric nurses’ attitudes to,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in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s by enhancing their practice of standard precaution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6 nurses who worked in pediatric nursing departments of a general medical institution in Seoul. The questionnaire was a modification of Kim (2008) and consisted of 18 questions about hand wash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harps, linen and patient care equipment.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15.0 WIN. Results: Mean scores for attitudes to standard precautions and for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were 4.43 (±0.83) and 4.22 (±0.44)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3.368, p=.001). The nurses’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ge (F=8.705, p |
---|---|
ISSN: | 2287-9110 2287-9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