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과의 관련성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relationships of postpartum depress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infants and moth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the mothers of 80 premature infants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Postpartum depression was...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 21(1), , pp.1-10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relationships of postpartum depress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infants and moth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the mothers of 80 premature infants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Postpartum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Edinburg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ough the medical records. The physiological state for the infants was evaluated using the revised Neurobiologic Risk Score (NBR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Average for EPDS was $9.75{\pm}5.06$, and 30% of the participants were at high risk for postpartum dep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partum depression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 level (F=3.493, p=.035), economic state (F=5.828, p=.004), multiple pregnancy (t=2.141, p=.037), chorioamnionitis (t=2.349, p=.021), oligohydramnios (t=-2.226, p=.029), broncho-pulmonary dysplasia (t=2.085, p=.040), germinal matrix hemorrhage (t=2.259, p=.027), and revised NBRS (t=-2.772, p=.007).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number of health problem of infants (r=.252, p=.024) and revised NBRS (r=.316, p=.004). Conclusion: As 30% of the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were at high risk for postpartum depression, they require attention. When providing interventions, socioeconomic status as well as the physiological state of premature infants should be conside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의 퇴원 시점에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과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 방법과 의무기록 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2개 대학병원과 시립병원, 강릉시 1개 종합병원에서 미숙아로 출생하여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중에서 퇴원이 예정된 환아와 그 어머니 80명이다. 결과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점수의 평균은 $9.75{\pm}5.06$점이었고 산후 우울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12점 이상군은 전체의 30.0%였다. 산후우울과 관련된 변수는 어머니의 교육 수준(F =3.493, p =.035)과 가정 내 월 소득(F=5.828, p =.004), 다태아 여부(t=2.141, p =.037), 융모양막염(t=2.349, p =.021), 양수과소증(t=-2.226, p =.029), 기관지폐이형성증(t=2.085, p =.040), 배기질출혈(t=2.259, p =.027) 여부, 개정판 NBRS 점수(t=-2.772, p =.007)였다. 그리고 산후우울과 미숙아의 입원 시 주요 건강문제의 개수의 합(r=.252, p =.024)과 개정판 NBRS 점수(r=.316, p =.004)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미숙아 어머니들의 산후우울의 위험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며 미숙아의 객관적 건강 상태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수준 등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
ISSN: | 2287-9110 2287-9129 |
DOI: | 10.4094/chnr.2015.2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