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자 보관검체 보존방법 안정성 연구(1차년도)

배경: 대한적십자사는 2004년 1월부터 헌혈자 검체를 −20℃ 이하에서 10년간 보존하고 있으며, 이 검체들은 수혈부작용이나 look back 조사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자들은 장기적으로 보관되고 있는 헌혈자 검체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적 방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HBV, HCV, HIV 핵산 양성 헌혈자 검체(n=90), HIV 감염자로부터 확보된 HIV 핵산 양성 검체(n=20) WHO HBV, HCV, HIV 핵산 국제표준물질, 혈청학적 검사 양성 헌혈자 검체(n=120) 및 혈청...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aehan Suhyŏl Hakhoe chi 2009, 20(2), 42, pp.105-112
Hauptverfasser: 오덕자, 우경남, 윤지연, 김재석, 박해준, 황유성, 윤경원, 이재숙, 강재원, 서혜준, 윤만정, 서인범, 하미나, 권소영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배경: 대한적십자사는 2004년 1월부터 헌혈자 검체를 −20℃ 이하에서 10년간 보존하고 있으며, 이 검체들은 수혈부작용이나 look back 조사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자들은 장기적으로 보관되고 있는 헌혈자 검체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적 방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HBV, HCV, HIV 핵산 양성 헌혈자 검체(n=90), HIV 감염자로부터 확보된 HIV 핵산 양성 검체(n=20) WHO HBV, HCV, HIV 핵산 국제표준물질, 혈청학적 검사 양성 헌혈자 검체(n=120) 및 혈청학적 검사 음성 헌혈자 검체(n=20)로, 수집된 이후 동결튜브에 0.5∼5 ml씩 소분하여 −20∼−30℃ 및 −70∼−80℃에 보관하였다. 보관개시 및 추적검사에 사용된 검사는 효소면역검사법, 형광면역검사법 및 핵산정량검사법을 사용하였다. 검사 결과는 SAS® 9.1 프로그램을 이용한 Linear mixed statistical model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대상 검체의 기본검사결과 핵산농도는 101∼107 IU/mL (copies/mL)의 분포를 보였고 혈청학적 검사의 흡광도 분포도 다양하였다(S/CO 3.0∼500). 본 연구의 1차년도 추적검사의 대상이 되는 82검체에 대한 추적검사결과는 기본검사결과와 비교하여 핵산농도나 정성적인 혈청학적 검사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보관 검체의 안정성에 대한 검증을 위한 실험 설계를 완료하였고 앞으로 10년간 6개월의 간격으로 추적검사를 실시하며 보관 검체의 안정성을 검증해갈 것이다. Background: The Korean Red Cross (KRC) has stored blood donor samples for 10 years under −20℃ since 2004. These samples have been used for investigating transfusion related infections and for Look-back studies. We designed an experimental scheme to verify the stability of stored blood samples. Methods: We collected and prepared samples such as blood donor samples (HBV, HCV, HIV nucleic acid positive; n=90), the HIV infected patient samples (n=20), the WHO nucleic acid international standards serologic positive samples (HBsAg, anti-HCV, anti-HIV; n=120) and the negative samples (n=20). The samples were aliquoted in cryo tubes with volumes of 0.5∼5 mL and they were stored at −20∼−30℃ and −70∼−80℃. We used enzyme immunoassay,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and quantitative PCR for the base line and the follow up studies. The linear mixed statistical model using SAS 9.1 for window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baseline test of the stored samples showed a variable range of viral load (101∼107 IU/mL or copies/mL) and optical density (S/CO 3.0∼500). The results of the stored samples after 6 month (n=82)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baseline data for the viral loads (P>0.05) and the qualitative serologic tests. Conclusion: We established an experimental scheme to verify the stability of the stored blood donor samples. From now on, the stability of the stored samples is going to be monitored by every 6 month for 10 year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9336
2383-6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