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수술과 펨토초라식수술 후 안구건조증 지표의 단기 관찰

목적: 스마일수술과 펨토초라식수술 후 측정된 안구건조증 지표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스마일수술을 받은 환자 20명(20안)과 펨토초라식수술을 받은 환자 23명(23안)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수술 후1주, 1개월, 3개월 시점에서 쉬르머검사, 눈물막파괴시간, 각막염색검사 및 눈물막 지질층두께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지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스마일수술과 펨토초라식수술에서 수술 후 1주일(p=0.44), 1개월(p=0.68), 3개월(p=0.23)째의 쉬르머검사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눈물...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9, 60(5), 460, pp.407-413
Hauptverfasser: 정호길(Ho Gil Jung):배지현(Gi Hyun Bae):곽주영(Joo Young Kwag), 현 주(Joo Hyun), 최진석(Jin Seok Choi), 박규홍(Kyu Hong Pak), 정성근(Sung Kun Ch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스마일수술과 펨토초라식수술 후 측정된 안구건조증 지표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스마일수술을 받은 환자 20명(20안)과 펨토초라식수술을 받은 환자 23명(23안)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수술 후1주, 1개월, 3개월 시점에서 쉬르머검사, 눈물막파괴시간, 각막염색검사 및 눈물막 지질층두께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지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스마일수술과 펨토초라식수술에서 수술 후 1주일(p=0.44), 1개월(p=0.68), 3개월(p=0.23)째의 쉬르머검사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눈물막파괴시간은 스마일수술 후 1주일째 5.52 ± 1.50초, 펨토초라식수술에서 1주일째 4.59 ± 2.50초로 측정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 각막염색검사는 스마일수술 후 1주일째 0.50 ± 0.51점, 펨토초라식수술 후 1주일째 1.14 ± 0.99점이었으며(p=0.04), 스마일수술 후 1개월째 0.50 ± 0.51점, 펨토초라식수술 후 1개월째 1.10 ± 0.93점(p=0.03), 스마일수술후 3개월째 0.39 ± 0.50점이었으며, 펨토초라식수술 후 3개월째 0.94 ± 0.85점(p=0.03)으로 측정되어 모든 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일수술과 펨토초라식수술에서 수술 후 1주일(p=0.36), 1개월(p=0.43), 3개월째(p=0.71)의 눈물막 지질층두께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스마일수술 후 측정한 안구건조증 지표 중 일부에서 펨토초라식수술 후 측정한 안구건조증 지표에 비해 객관적인 검사치의 개선을 나타냈으며, 검사치의 개선을 나타낸 지표는 눈물막파괴시간검사와 각막염색검사였다. Purpose: To determine possible differences in dry eye syndrome in relation to surgery methods, especially between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SMILE) and femtosecond laser-assist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S-LASIK), in Korean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volved 20 patients (20 eyes) who were treated with SMILE surgery and 23 patients (23 eyes) who were treated with FS-LASIK. The Schirmer test, tear film breakup time (TBUT), corneal staining score (CSS), and measurement of changes in the lipid layer thicknesses at one week, and 1 and 3 months after surgery were performed. Possible correlations between indicators of dry eye syndrome were then analyz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time difference in some indices. The TBUT was 5.52 ± 1.50 s after one week for SMILE patients and 4.59 ± 2.50 s for FS-LASIK patients (p = 0.02). The CSS was 0.50 ± 0.51 after 1 week for SMILE patients and 1.14 ± 0.99 after 1 week for FS-LASIK patients (p = 0.04). The CSS was 0.50 ± 0.51 after 1 month for SMILE patients and 1.10 ± 0.93 after 1 month for FS-LASIK patients (p = 0.03). Three months later, the CSS was 0.39 ± 0.50 for SMILE patients and 0.94 ± 0.85 for FS-LASIK patients (p = 0.03). However, the Schirmer tes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postoperatively for SMILE and FS-LASIK patients at 1 week (p = 0.44), 1 month (p = 0.68), and 3 months (p = 0.23).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tear film lipid lay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the same periods (p = 0.36, p = 0.43, and p = 0.72, respectively). Conclusions: When compared with FS-LASIK surgery, SMILE surgery resulted in significantly improved te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