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BOW를 이용한 취업알선 챗봇용 단문 분류 연구
최근 각종 사업 분야에서 기업들은 기존 메신저 플랫폼에 인공지능을 더하여 다양한 환경을 대상으로 챗봇 서비스 지원에 주력하고 있다. 취업알선 분야의 기관에서도 취업상담 서비스 품질 제고와 상담 인력 해소를 위해 챗봇 서비스를 요구한다. 일반적인 텍스트 기반 챗봇은 입력된 사용자 문장을 학습된 문장으로 분류하여 적합한 답변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 영향으로 챗봇에 입력되는 사용자 문장은 단문으로 입력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단문 분류의 성능향상은 챗봇 서비스의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Inteonet jeongbo hakoe nonmun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2019, 20(2), , pp.93-100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최근 각종 사업 분야에서 기업들은 기존 메신저 플랫폼에 인공지능을 더하여 다양한 환경을 대상으로 챗봇 서비스 지원에 주력하고 있다. 취업알선 분야의 기관에서도 취업상담 서비스 품질 제고와 상담 인력 해소를 위해 챗봇 서비스를 요구한다. 일반적인 텍스트 기반 챗봇은 입력된 사용자 문장을 학습된 문장으로 분류하여 적합한 답변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 영향으로 챗봇에 입력되는 사용자 문장은 단문으로 입력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단문 분류의 성능향상은 챗봇 서비스의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취업알선 챗봇을 위한 단문 분류 강화를 위해 기존 연구의 개념 정보뿐만 아니라 번역문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인 T-EBOW (Translation-Extended Bag Of Words)를 제안한다. T-EBOW를 기계학습 분류 모델에 적용한 단문 분류의 성능은 기존 방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 평가 결과를 보였다.
Recently, in various business fields, companies are concentrating on providing chatbot services to various environments by ad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existing messenger platforms.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job placement also require chatbot servi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counseling services and to solve the problem of agent management. A text-based general chatbot classifies input user sentences into learned sentences and provides appropriate answers to users. Recently, user sentences inputted to chatbots are inputted as short texts due to the activ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erefore, performance improvement of short text classification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chatbot service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T-EBOW (Translation-Extended Bag Of Words), which is a method to add translation information as well as concept information of existing research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short text classification for employment chatbot.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the T-EBOW applied to the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model are superior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
---|---|
ISSN: | 1598-0170 2287-1136 |
DOI: | 10.7472/jksii.2019.20.2.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