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구주변에서 시간에 따라 배출되는 아산화질소량 측정 실험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서 하상형태가 아산화질소(N2O)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사구주변에서 배출되는아산화질소량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사구주변에서 시간에 따른 N2O 배출량을 측정하였고, N2O 배출량과 수질자료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사구의 마루에서 배출된 N2O 배출량은 평탄한 곳보다 2.8배 더 많이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구의 언덕과 비탈에서는 평탄한 곳보다 각각 2.2배, 3.8배로 N2O가 더 많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량 공급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구...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19, 41(4), , pp.228-234
Hauptverfasser: 안명희(Myeonghui Ahn), 김영선(Youngsun Kim), 지운(Un Ji), 구정은(Jungeun Gu), 고종민(Jongmin Ko), 배인혁(Inhyeok Bae), 강호정(Hojeong K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에서는 하천에서 하상형태가 아산화질소(N2O)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사구주변에서 배출되는아산화질소량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사구주변에서 시간에 따른 N2O 배출량을 측정하였고, N2O 배출량과 수질자료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사구의 마루에서 배출된 N2O 배출량은 평탄한 곳보다 2.8배 더 많이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구의 언덕과 비탈에서는 평탄한 곳보다 각각 2.2배, 3.8배로 N2O가 더 많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량 공급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구 주변 위치별 N2O 배출량이 증가 혹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결과로, 사구의 언덕에서 측정된 N2O 배출량은 2.97 μg N/m²/h에서 13.9 μg N/m²/h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사구의 언덕과 마루, 비탈에서 N2O 배출량은 증가하였고, 평탄한 부분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하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잠재적 온실가스를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amount of nitrous oxide (N2O) emissions from the vicinity of a dune was measu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edform on N2O emissions. N2O emissions over time around a dune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N2O emissions and water quality were evaluated. As a result, N2O emissions at the dune crest were 2.8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flat bed and N2O emissions at the hill and slopes were 2.2 times and 3.8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flat bed, respectively. Also, it was confirmed that N2O emissions at the different locations of the dune increased or decreased over time after the supply of the discharge. N2O emissions measured at the hill of the dune were the largest, which were increased from 2.97 to 13.9 μg N/m²/h. N2O emissions have tended to be increased in the hills, crests and slopes of the dune and be decreased in the flat bed.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to evaluate the potential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river system indirectly. KCI Citation Count: 1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19.41.4.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