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의 눈물길 폐쇄 위치에 따른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효과
목적: 눈물주머니조영술은 눈물길 폐쇄 위치와 정도를 한눈에 보기에 편한 검사법으로 이에 따른 눈물길 폐쇄 위치가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성공률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눈물흘림을 주소로 본원 안과에 내원하여 눈물주머니조영술을 받고, 눈물길 완전폐쇄를 진단받은 환자 중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받은 115명 128안을 6개월 이상 추적 관찰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눈물길 폐쇄 위치에 따라 환자를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공동눈물소관 폐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8, 59(4), , pp.301-306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눈물주머니조영술은 눈물길 폐쇄 위치와 정도를 한눈에 보기에 편한 검사법으로 이에 따른 눈물길 폐쇄 위치가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성공률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눈물흘림을 주소로 본원 안과에 내원하여 눈물주머니조영술을 받고, 눈물길 완전폐쇄를 진단받은 환자 중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받은 115명 128안을 6개월 이상 추적 관찰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눈물길 폐쇄 위치에 따라 환자를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공동눈물소관 폐쇄 1군, 눈물주머니 폐쇄 2군, 눈물주머니-코눈물관 연결부 폐쇄 3군, 코눈물관 폐쇄는 4군으로 하였으며 수술 후 증상 호전 여부에 따라 성공과 실패를 판단하였다.
결과: 전체 128안 중 1군 19안(22.6%), 2군 28안(21.9%), 3군 28안(21.9%), 4군 43안(33.6%)으로 코눈물관 폐쇄를 보인 환자의 비율이 가장 많았다. 폐쇄 부위별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성공률은 1군 55.2%, 2군 71.4%, 3군 85.7%, 4군 86.1%였다. 이 중 공동눈물소관 폐쇄 환자군의 수술 성공률은 눈물주머니-코눈물관 연결부위 폐쇄 환자군과 코눈물관 폐쇄 환자군의 수술 성공률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3, p=0.01).
결론: 눈물길 폐쇄에 의한 눈물 흘림 환자에서 수술 전 눈물주머니조영술은 눈물길 폐쇄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효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Purpose: The success of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r duct obstruction in dacryocystography.
Methods: Patients visited our clinic with the chief complaint of epiphora between January 2009 and September 2016 who received dacryocystography and were diagnosed with a total nasolacrimal obstruction. Among these patients, 128 eyes from 115 patients who received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were selected and their medical records from > 6-month follow-up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lacrimal passage obstruction in dacryocystography: common canaliculus obstruction as group 1, lacrimal sac obstruction as group 2, lacrimal sac-nasolacrimal duct junction obstruction as group 3, an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s group 4. Success and failure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symptom improvements after surgery.
Results: Among the total of 128 eyes, 19 eyes were categorized as group 1 (22.6%), 28 eyes as group 2 (21.9%), 28 eyes as group 3 (21.9%), and 43 eyes as group 4 (33.6%).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was the most common condition. The success of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was 55.2% in group 1, 71.4% in group 2, 85.7% in group 3, and 86.1% in group 4. The surgical success of the patient group with common canaliculus obstru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urgical success of the lacrimal sac-nasolacrimal duct junction obstruction an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groups (p = 0.03 and p = 0.01, respectively).
Conclusions: Determination of the accurate position of obstruction using preoperative dacryocystography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epiphora caused by tear duct obstruction be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