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품화된 다양한 인공눈물 제품의 오스몰 농도 비교

목적: 국내에서 상품화된 다양한 인공눈물의 오스몰 농도를 직접 측정하여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국내에서 사용 중인 인공눈물을 TearLab®과 Multi-OsmetteTM을 이용하여 오스몰 농도를 분석하였다. 저장성 오스몰 농도의 0.18% 히알루론산(sodium hyaluronate, HA)군, 등장성 오스몰 농도의 0.1%, 0.15%, 0.3% HA군, 0.5% 카복시메틸셀룰로즈(carboxymethylcellulose, CMC)군으로 5개 군에 군당 3가지 제품을 측정하였다. 결과: 등장성 인공눈물 12가지 중...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8, 59(2), , pp.117-122
Hauptverfasser: 우인호(In Ho Woo), 홍준기(Jun Gi Hong), 허정아(Jung Ah Huh), 엄영섭(Youngsub Eom), 김효명(Hyo Myung Kim), 송종석(Jong Suk So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국내에서 상품화된 다양한 인공눈물의 오스몰 농도를 직접 측정하여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국내에서 사용 중인 인공눈물을 TearLab®과 Multi-OsmetteTM을 이용하여 오스몰 농도를 분석하였다. 저장성 오스몰 농도의 0.18% 히알루론산(sodium hyaluronate, HA)군, 등장성 오스몰 농도의 0.1%, 0.15%, 0.3% HA군, 0.5% 카복시메틸셀룰로즈(carboxymethylcellulose, CMC)군으로 5개 군에 군당 3가지 제품을 측정하였다. 결과: 등장성 인공눈물 12가지 중 300 mOsm/L 이하가 7가지(58.3%), 저장성 인공눈물 3가지 중 150 mOsm/L 이하가 2가지(66.6%)였다. 등장성 오스몰 농도에 0.3% HA군과 저장성 오스몰 농도에 0.18% HA군에서 각 군 내 제품 간 오스몰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등장성 오스몰 농도에 0.1% HA와 0.15% HA의 두 군에서 각 군 내 제품 간 차이가 약 12 mOsm/L로 나타났으며, CMC군에서 제품 간 편차가 가장 작고 300 mOsm/L에 근접한 값으로 나타났다. 등장성 오스몰 농도에 0.15% HA군이 305.67 ± 6.38 mOsm/L, 0.1% HA군이 293.44 ± 8.71 mOsm/L, 0.3% HA군이 285.67 ± 3.67 mOsm/L의 순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HA 함유 제품과 CMC 함유제품 사이에 오스몰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17). 결론: 상용화된 인공눈물 오스몰 농도는 제품 생산 시 발표값과 실제 측정값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HA의 함량과 제조회사에 따라 오스몰 농도가 차이가 있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osmolarity of various artificial tear products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he osmolarity of the artificial tears was analyzed using TearLab® and Multi-Osmette™. We divided the artificial tear products into five groups, including hypo-osmolar 0.18% sodium hyaluronate (HA), iso-osmolar 0.1%, 0.15%, 0.3% HA, and 0.5%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CMC), and measured three products per group. Results: Among the 12 products of iso-osmolar artificial tears, there were seven products (58.3%) < 300 mOsm/L, and among the three products of hypo-osmolar artificial tears, there were two products (66.6%) < 150 mOsm/L.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was observed between the iso-osmolar 0.3% HA group and the hypo-osmolar 0.18% HA group. In the iso-osmolar 0.1% HA and 0.15% HA,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ducts in each group was approximately 12 mOsm/L, and the CMC group had the smallest deviation among products, which was close to 300 mOsm/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305.57 ± 6.38 mOsm/L in the iso-osmolar 0.15% HA group, 293.44 ± 8.71 mOsm/L in the 0.1% HA group, and 285.67 ± 3.67 mOsm/L in the 0.3% HA group (p < 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smolarity between the iso-osmolar products containing HA and CMC (p = 0.117). Conclus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osmolarity between the published and actual measured values of commercial artificial tear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osmolality depending on the content of HA and the manufacturer.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