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질환 특이적 삶의 질 도구에 관한 한국어 번역 설문지의 타당성에 대한 조사

목적: 건강 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이하 HRQOL)의 측정은 질환의 경과와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간질환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에 국제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영문 LDQOL 1.0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인의 사회심리학, 임상-심리학 면에서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해 한국어 번역본의 신뢰도(reliability)와 타당도(validity)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대상과 방법: 한국어가 모국어이면서 영어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2007, 13(1), , pp.44-50
Hauptverfasser: 김세현, Se Hyun Kim, 최기현, Ki Hyun Choi, 황성규, Seong Gyu Hwang, 이지현, Ji Hyun Lee, 곽선영, Sun Young Kwak, 박필원, Pil Won Park, 김유경, Yu Kyung Kim, 박혜자, Hye Ja Park, 김순주, Soon Joo Kim, 임규성, Kyu Sung R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건강 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이하 HRQOL)의 측정은 질환의 경과와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간질환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에 국제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영문 LDQOL 1.0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인의 사회심리학, 임상-심리학 면에서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해 한국어 번역본의 신뢰도(reliability)와 타당도(validity)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대상과 방법: 한국어가 모국어이면서 영어에 유창한 두 명의 번역가(한 명은 의료인, 다른 한 명은 비의료인)가 독립적으로 LDQOL 1.0의 지시, 설문 항목, 응답 등을 번역한후 121명의 만성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원 감독 하에 환자가 자가기입 방식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LDQOL 1.0 중 만성 간질환-특이 도구의 12개의 영역(75항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내적 일치도 신뢰계수를 측정하였다. 질병의 중증도는 변형된 CTP score와 MELD score에 의해 분류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한 점수와 변형된 CTP score 및 MELD score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6.1±11.8세였고, 남자 88명, 여자는 33명이었다. 각 영역에서의 항목들 간의 내적 일치도는 대부분에서 Cronbach's alpha가 0.7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나 사회관계의 질에서는 0.54로 다른 영역들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환자들의 객관적인 질병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변형된 CTP score와 MELD score는 각각 평균이 6.2±1.9와 9.3±5.3으로 나타났다. LDQOL 1.0의 각 영역과 변형된 CTP score, MELD score는 사회관계의 질과 수면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한국어로 번역된 LDQOL 1.0 중 질병 특이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하게 검증되어 국내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건강 관련 삶의 질 평가에 유용한 것으로 사료되며, 환자의 치료 계획을 세우거나 치료의 효과 판정에 있어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질환 특이적 삶의 질 도구에 관한 한국어 번역 설문지의 타당성에 대한 조사 Background/Aims: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utcomes in treatment of chronic disease is increasingly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Korean translation of the Liver Disease Quality of Life instrument (LDQOL version 1.0) for use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Methods: Two native Korean speakers with fluent English translated LDQOL including instructions, items, and response choices. This Korean translation of the LDQOL was administered to 121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applied to test an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disease-specific scales of the LDQOL. MELD and modified CTP scores were calculated for all patients. Associations of MELD and modified CTP scores with severity of liver disease were analyzed with LDQOL. Result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good (Cronbach's Alpha=0.69-0.94) in liver disease specific scales, except for the quality of social interaction scale (Cronbach's Alpha= 0.56). Mean modified CTP score and MELD score were 6.2±1.9 and 9.3±5.3, respectively. Both MELD score and modified CTP score showed correlations with most of the scores of liver disease specific scales of LDQOL 1.0, except for the quality of social interaction and sleep scale. Conclusions: The Korean version of the liver dis
ISSN:2287-2728
2287-28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