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에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

목 적: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의 치료에 있어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의 안전성, 효과 그리고 기술적인 문제들을 평가하였다. 방 법: 1993년부터 10년 동안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의 치료로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을 시행한 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시술은 풍선 카테터를 내시경 겸자구를 통해 삽입하여 내시경 직시 하에서 시행되었으며 최초로 사용되는 풍선의 크기는 식도의 내경과 협착 부위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하였다. 협착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먼저 유도 철선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2005, Hepatology & Nutrition, 8(2), , pp.137-142
Hauptverfasser: 곽주영, 박재홍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 적: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의 치료에 있어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의 안전성, 효과 그리고 기술적인 문제들을 평가하였다. 방 법: 1993년부터 10년 동안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의 치료로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을 시행한 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시술은 풍선 카테터를 내시경 겸자구를 통해 삽입하여 내시경 직시 하에서 시행되었으며 최초로 사용되는 풍선의 크기는 식도의 내경과 협착 부위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하였다. 협착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먼저 유도 철선을 통과시킨 후, 유도 철선을 따라 풍선 카테터를 삽입시켰다. 풍선을 협착 부위에 위치시키고 서서히 확장하면서 목표하는 크기로 풍선이 팽창되면 1분 동안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감압하여 1분 이상의 휴식을 가졌다. 확장 후 합병증이 없으면 풍선의 직경을 1 mm 간격으로 늘리면서 추가 확장하였다. 결 과: 남아가 3명, 여아가 5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2세였다. 8명의 환자에서 27회(환자 당 평균 3.2회)의 확장이 시행되었다. 기저 질환의 종류는 선천성 식도 폐쇄에 대한 수술 후 발생한 식도 협착이 3예, 식도윤이 2예, 그 외 식도 무이완증, 빙초산에 의한 부식성 식도염 그리고 고압성 식도 하부 괄약근이 각각 1예였다. 6~15 mm 직경의 풍선을 사용하였고, 최초 풍선의 크기는 협착의 형태와 정도에 따라 결정되었다. 합병증으로는 식도 천공과 심한 호흡 곤란이 각각 1예 있었다. 6예(75%)에서 시술 후 정상적인 음식 섭취를 보였다. 결 론: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은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safety, efficacy and technical problems of the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of esophageal anomalies in childre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8 children treated by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for esophageal anomalies over a 10-year perio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balloon catheter (Maxforce TTS or CRE, Boston Scientific Co., USA) was positioned across the area of narrowing by direct visualization. The balloon was slowly inflated with normal saline to specified pressures for each balloon and maintained for 60 seconds and then deflated. After 60 seconds pause, the procedure was repeated with a larger sized balloon (increments of 1 mm for each subsequent dilation) till effective dilatation was confirmed by direct visualization without complications. Results: Three male and five female were included and their mean age was 4.2 years. A total of 27 (average of 3.2 per patient) dilatation were performed. Underlying diseases of patients are postoperative stricture of esophageal atresia in 3 cases, esophageal ring in 2 cases, achalasia, corrosive esophagitis and hypertensive LES in one case respectively. The size of initial dilating balloon was chosen on the basis of the diameter of the narrowing determined by endoscopy. The first dilation in patients with severe esophageal stricture was made with a 6 mm sized balloon. Complications observed were esophageal perforation and respiratory holding during the procedure in one case respectively. Successful outcome was seen in 6 patients (75%). Conclusion: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can provide a safe and effective m
ISSN:2234-8646
2234-8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