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관성 개입과 실행의도 형성이 우울한 대학생의 우울, 낙관성, 주관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낙관성 개입과 실행의도 형성이 우울한 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우울 수준이 높은 대학생 60명을 미래의 최고로 가능한 자기에 대해 글을 쓰고 상상하는 낙관성 개입 조건(21명), 낙관성 개입 이후에 실행의도를 형성하는 조건(20명), 일상적인 하루에 대해 글을 쓰고 상상하는 통제 조건(19명)에 무선할당 하였다. 분석 결과, 낙관성 개입 조건의 참가자들은 통제 조건의 참가자들과 비교하여 우울이 감소되고, 낙관성, 정서적 안녕감, 인지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였다. 낙관성 개입 이후에 실행의도를 형성하는...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2019, 27(1), , pp.64-73 |
---|---|
1. Verfasser: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낙관성 개입과 실행의도 형성이 우울한 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우울 수준이 높은 대학생 60명을 미래의 최고로 가능한 자기에 대해 글을 쓰고 상상하는 낙관성 개입 조건(21명), 낙관성 개입 이후에 실행의도를 형성하는 조건(20명), 일상적인 하루에 대해 글을 쓰고 상상하는 통제 조건(19명)에 무선할당 하였다. 분석 결과, 낙관성 개입 조건의 참가자들은 통제 조건의 참가자들과 비교하여 우울이 감소되고, 낙관성, 정서적 안녕감, 인지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였다. 낙관성 개입 이후에 실행의도를 형성하는 조건의 참가자들은 통제 조건의 참가자들과 비교하여 우울이 감소되고, 낙관성과 정서적 안녕감이 증가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optimism intervention consisting of writing and mental imagery about best possible self(BPS) and implementation intention on depression, optimism, subjective well-being,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ixty depressive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BPS condition(n=21), BPS & implementation intention condition(n=20), and control condition(n=19). Depression, optimism, emotional well-being, cognitive well-being, self-efficac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 The pre-and post-survey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COV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control intervention, BPS intervention led to significantly larger decrease in depression and significantly larger increase in optimism, emotional well-being, cognitive well-being,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ntrol intervention, BPS & implementation intention intervention led to significantly larger decrease in depression and significantly larger increase in optimism, emotional well-being.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ptimism intervention and implementation intention has therapeutic implication in depressed group.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5 |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9.27.1.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