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틴 기반 흡착제 PEI-chitin을 이용한 반응성염료의 제거

산업폐수 속의 대표적인 색도유발물질인 염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생체흡착제로 폴리에틸렌이민을 키틴에 가교결합한 PEI-chitin을 개발하였다. 대표적인 반응성염료인 Reactive Orange 16 (RO16)을 모델염료로 사용하였고, RO16에 대한 PEI-chitin의 흡/탈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pH의 영향, 등온흡착, 흡착속도론, 탈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angmuir 식에 의해 산출된 최대흡착량은 pH 2에서 266.3 mg/g이었고, 흡착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50 mg/L에서는 약 20분, 100...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K), 57(2) 2019, 57(2), 313, pp.232-238
Hauptverfasser: 김경민, Gyeong Min Kim, 왕쭈오, Zhuo Wang, 원성욱, Sung Wook Wo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산업폐수 속의 대표적인 색도유발물질인 염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생체흡착제로 폴리에틸렌이민을 키틴에 가교결합한 PEI-chitin을 개발하였다. 대표적인 반응성염료인 Reactive Orange 16 (RO16)을 모델염료로 사용하였고, RO16에 대한 PEI-chitin의 흡/탈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pH의 영향, 등온흡착, 흡착속도론, 탈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angmuir 식에 의해 산출된 최대흡착량은 pH 2에서 266.3 mg/g이었고, 흡착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50 mg/L에서는 약 20분, 100 mg/L에서는 약 60분 그리고 200 mg/L에서는 약 240분으로 평가되었다. 탈착실험은 암모니아/에탄올 혼합용액, NaOH, NaHCO 3 , Na 2 CO 3 를 용리액으로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암모니아/에탄올 혼합용액에서 75.24%로 가장 높은 탈착율을 보였다. Polyethylenimine-crosslinked chitin (PEI-chitin) was developed as a biosorbent to effectively remove dyestuffs from dye-containing wastewater. A representative reactive dye, Reactive Orange 16 (RO16) was used as a model dye. The effect of pH, isotherm, kinetic and desorp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dsorption/desorption ability of PEI-chitin for RO16. As a result,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calculated by the Langmuir model was 266.3 mg/g at pH 2, and the time needed for adsorption equilibrium was evaluated to be about 20, 60, and 240 min for 50, 100, and 200 mg/L, respectively. The desorp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various eluents such as ammonia/ethanol mixture, NaOH, NaHCO 3 , and Na 2 CO 3 , and the highest desorption rate was 75.24% in the ammonia/ ethanol mixture.
ISSN:0304-128X
2233-9558
DOI:10.9713/kcer.2019.57.2.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