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게실의 절제는 필요한가?
목적: 소장게실은 그 빈도가 낮고 임상 증상이 명확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우므로 개복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개복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 수술적 절제의 필요성에 대해 일정한 결론이 없다. 소장게실의 발생 위치에 따른 임상 양상 및 수술 치료의 차이를 알아보고, 개복시 우연히 발견된 소장게실에서 수술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7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소장게실로 수술받은 8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 Background/Aims: Small bowel diverticulum is...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4, 44(5), , pp.275-279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소장게실은 그 빈도가 낮고 임상 증상이 명확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우므로 개복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개복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 수술적 절제의 필요성에 대해 일정한 결론이 없다. 소장게실의 발생 위치에 따른 임상 양상 및 수술 치료의 차이를 알아보고, 개복시 우연히 발견된 소장게실에서 수술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7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소장게실로 수술받은 8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
Background/Aims: Small bowel diverticulum is a rare disease that can be found incidentally during a surgical operation. Since reported complication rate is low, uncomplicated small bowel diverticula are generally recommended to be untreated. The aim of th |
---|---|
ISSN: | 1598-9992 2233-6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