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구양 여포 직장염 치료에서 메살라진 좌제의 유용성

목적: 림프구양 여포 직장염은 매우 드문 염증 질환으로 아직 치료 약제가 정립되어 있지 않으나, 메살라진 좌제 사용 후 호전된 증례가 있어 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림프구양 여포 직장염으로 진단 받은 8명의 환자들을 후향 분석하였다. 메살라진 좌제 투여 후 증상 호전과 추적 내시경 검사에서 병변 소실이 있을 때 반응군으로 하였다. 결과: 무증상군 3명, 증상군 5명이었다. 증상군의 경우 간헐적인 혈변이 가장 많았다. 평균 추적 기간 14.1개월(2-35), 증상군...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6, 47(6), , pp.420-424
Hauptverfasser: 서검석, Geom Seog Seo, 최석채, Suck Chei Choi, 조은영, Eun Young Jo, 최창수, Chang Soo Choi, 김지웅, Ji Woong Kim, 김태현, Tae Hyeon Kim, 윤기중, Ki Jung Yun, 나용호, Yong Ho Nah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림프구양 여포 직장염은 매우 드문 염증 질환으로 아직 치료 약제가 정립되어 있지 않으나, 메살라진 좌제 사용 후 호전된 증례가 있어 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림프구양 여포 직장염으로 진단 받은 8명의 환자들을 후향 분석하였다. 메살라진 좌제 투여 후 증상 호전과 추적 내시경 검사에서 병변 소실이 있을 때 반응군으로 하였다. 결과: 무증상군 3명, 증상군 5명이었다. 증상군의 경우 간헐적인 혈변이 가장 많았다. 평균 추적 기간 14.1개월(2-35), 증상군의 평균 투약 기간은 12개월(3-31)이었다. 증상군 중 4예는 투여 2주 내에 증상 호전을, 투여 3개월 후 추적 대장내시경에서 결절 병변의 개수 감소와 반흔 형성을 보였다. 증상군 1예에서 500 mg을, 4예에서 250 mg의 메살라진 좌제를 사용하였으며 250 mg을 사용한 1예(증상군 2번 환자)에서 반응군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 종결 시점에서는 5예 모두에서 증상 및 조직소견의 호전을 보였다. 반응군의 경우 조직검사에서 림프구양 여포 과증식과 점막 고유판의 과도한 림프구 침윤 소견도 감소하였고, 무증상군 3예는 추적기간 동안 증상 발현이 없었으며 추적 대장내시경을 시행 받은 1예의 경우 육안 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메살라진 좌제는 증상이 있는 림프구양 여포 직장염 환자에서 증상 및 조직 소견의 호전을 가져오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다. Background/Aims: Lymphoid follicular proctitis (LFP) is an uncommon inflammatory condition confined to the rectum. Patients with LFP constitute a special group with clinical, endoscopic, and histological features unrelated to other type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and have been reported to be refractory to Local steroid and/or oral sulfasalazine therap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ether mesalazine suppositories have a therapeutic effect in LFP. Methods: The histologic slides of 8 cases indexed in our pathology files as "lymphoid follicular proctitis of the rectal mucosa" from January 2001 to November 2003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most common symptom in the patients with LFP was rectal bleeding. The endoscopic mucosal changes were discontinuous, sparing whole circumferential involvement, and were strictly confined to the rectum. Average period of medication was 12 months. All the symptomatic patients with LFP responded to mesalazine suppository therapy. In addition, these patients did not progress to other disease including ulcerative proctitis or Lymphoma. Conclusions: Mesalazine suppository treatment is a useful therapeutic option for symptomatic patients with LFP. (Korean J Gastroenterol 2006;47:420-424)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