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성 황달에서 담도 배액 전후의 Cytokine과 Endotoxin에 대한 연구

목적: 악성 담도폐색은 시술 및 수술 후 신부전, 패혈증 등과 같은 높은 이환율 및 사망률과 연관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담도 배액, 특히 정상적인 생리상태와 유사한 내부담도 배액을 실시함으로써 예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악성 담도협착에서 내부 그리고 외부 담도 배액 전후 합병증과 관련된 TNF-α, sTNFr, interleukin 1α, interleukin 6와 같은 사이토카인과 내독소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악성 담도협착으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3, 41(6), , pp.493-498
Hauptverfasser: 강대환, Dae Hwan Kang, 허정, Jeong Heo, 김광하, Gwang Ha Kim, 문재현, Jae Hyeon Moon, 권대식, Dae Sik Kwon, 김보석, Bo Suk Kim, 안진광, Jin Kwang An, 송근암, Geun Am Song, 조몽, Mong Cho, 양웅석, Ung Suk Y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악성 담도폐색은 시술 및 수술 후 신부전, 패혈증 등과 같은 높은 이환율 및 사망률과 연관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담도 배액, 특히 정상적인 생리상태와 유사한 내부담도 배액을 실시함으로써 예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악성 담도협착에서 내부 그리고 외부 담도 배액 전후 합병증과 관련된 TNF-α, sTNFr, interleukin 1α, interleukin 6와 같은 사이토카인과 내독소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악성 담도협착으로 담도배액술을 시행받은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PTBD를 시행한 군은 11명(남/여: 3/8), 평균 연령±표준편차은 61±14세, 담도암이 9명, 췌장암이 2명이었으며, ERBD를 시행한 군은 10명(남/여: 7/3), 평균 연령±표준편차 65±10세, 담도암이 7명, 췌장암이 3명이었다. 대상군은 담관염의 임상적인 특징은 없었다. 일반 검사실 검사(혈액 검사, 간기능 검사, 신기능 검사)와 TNF-α, interleukin 1α, interleukin 6, 내독소를 담도 배액 전 및 배액 후 7일째에 측정하였다. 결과: 총 빌리루빈은 시술 전후 PTBD군과 ERBD군에서 각각 13.3±8.2에서 6.2±4.4 mg/dL, 7.0±11.2에서 5.3±4.0 mg/dL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나, 다른 검사치 소견은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sTNFr는 PTBD군에서 시술 전후 각각 5.1±1.4, 5.5±1.5 ng/mL였으며, ERBD군에서 시술 전후 각각 5.9±1.3, 5.6±1.0 ng/mL로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며, sTNFr의 변화는 PTBD군과 ERBD군의 두 군에서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차이가 없었다. IL-1α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IL-6은 PTBD군과 ERBD군에서 시술 전 후 각각 3명과 1명에서 검출되었다. 내독소는 PTBD군에서 시술 전후 각각 6.8±1.5, 6.3±1.4 ng/mL였으며, ERBD군에서 시술 전후 각각 6.4±1.1, 6.1±1.3 GMU/mL로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며, PTBD군과 ERBD군의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론: sTNFr와 내독소는 외부 배액과 비교하여 내부 배액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Background/Aims: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are associated with high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ternal and internal biliary drainage on plasma concentrations of cytokines and endotoxin. Methods: Twenly-one patients with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y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PTBD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and ERBD (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groups. Then, plasma concentrations of TNF-α, sTNFr, interleukin 1α (IL-1α), interleukin 6 (IL-6), and endotoxi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1 week in PTBD and ERBD groups. Results: Total bilirubin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3.3±8.2 to 6.2±4.4 mg/dL after PTBD and 7.0±11.2 to 5.3±4.0 mg/dL after ERBD (p=0.005, 0.007, respectively). Plasma sTNFr in PTBD group was 5.1±1.4 before drainage and remained unchanged 5.5±1.5 ng/mL at one week after drainage (p=0.155). Plasma sTNFr in the ERBD group was 5.9±1.5 and 5.6±1.0 ng/mL before and after biliary drainage, respectivedly (p=0.33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TNFr changes between the PTBD and ERBD groups (p=0.113).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dotoxin changes between the PTBD and ERBD groups (p=0.477). Other cytokines changed insignificantly. Conclusions: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