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바렛식도에서 p53과 Ki-67 단백의 면역조직화학 발현
목적: 바렛식도는 식도선암의 전구병변으로 원주상피로 치환된 식도상피의 특수장상피화생에서 이형성이 존재할 경우 식도선암의 발생과 관련이 깊다. 최근 한국에서 역류 식도질환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바렛식도와 식도선암의 유병률은 서구에 비해 현저히 낮다. 이에 저자들은 바렛식도의 암성 변화의 예측에 유용한 p53과 Ki-67단백의 면역조직화학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에서 원주상피로 치환된 식도상피의 변화가 관찰되어 바렛식도의 확진을 위해 식도 조직검사를 시행한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수장...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5, 46(3), , pp.189-195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바렛식도는 식도선암의 전구병변으로 원주상피로 치환된 식도상피의 특수장상피화생에서 이형성이 존재할 경우 식도선암의 발생과 관련이 깊다. 최근 한국에서 역류 식도질환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바렛식도와 식도선암의 유병률은 서구에 비해 현저히 낮다. 이에 저자들은 바렛식도의 암성 변화의 예측에 유용한 p53과 Ki-67단백의 면역조직화학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에서 원주상피로 치환된 식도상피의 변화가 관찰되어 바렛식도의 확진을 위해 식도 조직검사를 시행한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수장상피화생의 진단을 위해 모든 생검 예에서 alcian blue 염색(pH 2.5)을 시행하였고, 장형화생의 유무를 관찰하기 위해 high ion diamine 염색을 하였다. 그리고 전 예에서 p53과 Ki-67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내시경검사에서 바렛식도가 의심되었던 95명 중 55명(57.9%)에서 특수장상피화생이 관찰되었고 전 예에서 이형성은 없었다. 이들 55명 중 31명(56.4%)에서 sulfomucin 양성인 장형화생이 관찰되었다. 바렛식도로 조직 진단을 받은 55명 중 6명(10.9%)에서 p53 단백질의 핵내 침윤소견이 관찰되었고 이들 6명 모두에서 장형화생이 존재하였다. Ki-67 표지지수는 특수장상피화생이 있거나 p53 양성일 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바렛식도 환자에서 p53 단백질이 발현된 경우는 10.9%로 이들 모두에서 장형화생을 동반하고 있어 한국인에서도 바렛식도는 이형성의 발생이나 암성변화의 위험도가 높은 전암병소이며 향후 이들에 대한 추적 검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Barrett`s esophagus is a premalignant lesion of the esophagus in which normal squamous epithelium is replaced by intestinalized columnar epithelium. In Korea, adenocarcinoma associated with Barrett`s esophagus is rare compared with that of Western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p53 and Ki-67 in Barrett`s esophagus which had predictive value for cancer risk in Korea. Methods: Ninety five patients (43 male and 52 female, median age 44, range 21-75) who have been suspected to have Barrett`s esophagus by endoscopic assessmen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cian blue (pH 2.5) and high ion diamine stain for the evaluation of specialized intestinal metaplasia (SIM)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p53 and Ki-67 were done. Results: 57.9% (55/95) of biopsies from the columnar lined esophagus showed SIM, but no dyspalsia. 56.4% (31/55) of Barrett`s esophagus showed sulfomucin positive colonic metaplasia. The p53 expression was observed in 10.9% (6/55) of the patients of Barrett`s esophagus and all of them showed colonic metaplasia. Ki-67 labeling index showed no difference significantly. Conclusions: In Korea, 10.9% of Barrett`s esophagus had p53 mutation and moreover all of them had colonic metaplasia. Consequently, we expect that these patients have high risk of developing dysplasia and adenocarcinoma and need careful follow-up. (Korean J Gastroenterol 2005;46:189-195) |
---|---|
ISSN: | 1598-9992 2233-6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