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서 게실질환과 대장종양의 연관성

목적: 대장게실과 대장종양은 발생의 병태 생리 기전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한국인에서의 대장게실과 대장종양의 빈도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대장내시경을 실시한 3,007명의 환자 중 선별된 2,377명을 대상으로 대상군의 특성 및 게실군과 나머지 대조군에서 종양, 진행 종양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다발 게실군과 나머지 대조군의 종양의 빈도 및 진행 종양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환자군 중 게실 환자는 9%, 종양의 빈도는 29%, 진행 종양의 빈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7, 49(6), , pp.364-368
Hauptverfasser: 최창수, Chang Soo Choi, 최석채, Suck Chei Choi, 서검석, Geom Seog Seo, 조은영, Eun Young Cho, 조향정, Hyang Jung Cho, 김용성, Yong Sung Kim, 김기훈, Ki Hoon Kim, 김태현, Tae Hyeon Kim, 나용호, Yong Ho Nah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대장게실과 대장종양은 발생의 병태 생리 기전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한국인에서의 대장게실과 대장종양의 빈도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대장내시경을 실시한 3,007명의 환자 중 선별된 2,377명을 대상으로 대상군의 특성 및 게실군과 나머지 대조군에서 종양, 진행 종양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다발 게실군과 나머지 대조군의 종양의 빈도 및 진행 종양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환자군 중 게실 환자는 9%, 종양의 빈도는 29%, 진행 종양의 빈도는 6%였다. 게실 환자 중 근위부에 게실은 92.5%였다. 대상 환자군에서 남자의 종양 빈도는 34.8%, 여성은 21.6%였다(p<0.01). 게실군과 대조군에서 종양 빈도는 각각 37.7%, 28.2%, 진행 종양 빈도는 각각 7.9%, 5.9%으로 게실군에서 종양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3), 진행 종양의 경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3). 근위부 게실군과 대조군의 근위부 종양 빈도는 각각 24.6%, 14.3% (p<0.01), 근위부 진행 종양은 각각 4.5%, 2% (p=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발 게실군과 대조군 간에 종양 및 진행 종양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대장 게실이 있는 군이 게실이 없는 군보다 대장종양의 발생 빈도가 높았다. 그러나 한국의 게실 환자에서 추후 많은 대상군과 전향 연구 및 환자의 특성이 반영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Background/Aims: Although a few published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ticulosis and neoplasia in the west, it is not yet examined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diverticulosis and colonic neoplasia. Methods: We retrospectely analysed the medical records of 3,007 patients (M:F=1.3:1) who underwent colonoscopic examinations from year 2002 to year 2004. Patients who had a history of previous polypectomy, colon resection,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s were excluded. The size, extent (none, few, or many), and location of diverticuli and polyps were analyzed. Results: Of 2,377 patients, included 57% were male and the mean age was 50.8 year-old. Nine percent of the patient had diverticulosis, 29% had more than one neoplasm, and 6% had advanced neoplasia. Patients with diverticular diseases had higher risks of any neoplasia than those without diverticulum (p=0.03, 37.7% vs. 28.2%).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diverticular diseases and advanced neoplasia. Patients with proximal diverticular diseases had higher risk of any proximal neoplasia than other patients (p<0.01 24.6% vs. 14.3%). Moreover, they had higher risk of proximal advanced neoplasia than others (p=0.01, 4.5% vs. 2%). In addition, comparison of multiple diverticular disease with few or no diverticuli revealed no difference in the risk of any neoplasia. Conclusions: These data show that the patients with diverticular diseases have more neoplasms than controls without diverticula.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364-368)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