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유암종에서 내시경 치료의 효용성에 대한 후향 조사

목적: 크기가 작고 분화가 좋으며 주변 림프절 전이가 없는 직장 유암종은 내시경을 통한 국소 절제로 치료가 가능하다. 이번 연구는 직장 유암종에서 내시경 치료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내시경 치료방법에 따른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직장 유암종으로 진단받고 내시경 치료를 받은 30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평균연령은 49.7세였고, 남녀 비는 1:0.88이었다. 유암종의 평균 크기는 6.29±3.06 mm이었고, 10 mm이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8, 51(3), , pp.174-180
Hauptverfasser: 김유진, Yu Jin Kim, 이상길, Sang Kil Lee, 천재희, Jae Hee Cheon, 김태일, Tae Ill Kim, 이용찬, Yong Chan Lee, 김원호, Won Ho Kim, 정재복, Jae Bock Chung, 이승우, Seung Woo Yi, 박세미, Se Mi Par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크기가 작고 분화가 좋으며 주변 림프절 전이가 없는 직장 유암종은 내시경을 통한 국소 절제로 치료가 가능하다. 이번 연구는 직장 유암종에서 내시경 치료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내시경 치료방법에 따른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직장 유암종으로 진단받고 내시경 치료를 받은 30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평균연령은 49.7세였고, 남녀 비는 1:0.88이었다. 유암종의 평균 크기는 6.29±3.06 mm이었고, 10 mm이하는 25예(83.3%)였다. 총 30명의 환자 중 22명은 폴립절제술, 6명은 투명캡을 이용한 점막절제술, 2명은 내시경점 막하박리술을 시행하였으며 30명 모두에서 육안으로 완전절제가 이루어졌다. 폴립절제술군에서 7명(31.8%), 투명갭을 이용한 점막절제술군에서 1명(16.7%), 내시경점막하박리술군에서 1명(50%)이 절제 후 조직검사 결과에서 절제연 종양 양성이었다(p=0.868). 절제연 양성인 9명 중에서 5명에 대해 서는 추가적으로 경항문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조직에서 잔존 유암종은 없었다. 대상 환자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19.3개월(0-122개월)이었으며 추적 관찰 기간 중에 재발한 예는 없었다. 결론: 전이가 없는 직장 유암종에서 내시경 절제술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크기가 작고 분화가 좋은 직장 유암종에서는 폴립절제술 방법으로도 잔존 종양을 남기지 않고 절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를 확증하기 위해서는 더 큰 규모의 전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Well differentiated rectal carcinoid tumors which are less than 1cm in diameter can be treated by endoscopic resection. We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ndoscopic resection in treating small sized rectal carcinoids. Methods: Medical records of 30 rectal carcinoid cases treated by endoscopic resection i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verance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March 200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Mean age was 49.7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0.88. Mean size of tumor was 6.29±3.06 mm and 25 out of 30 patients (83.3%) had tumors of diameter less than 10 mm. Twenty-two out of 30 patients treated by conventional polypectomy, 6 b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using a transparent cap (EMR-C) and 2 by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9 patients had resection margin positive for tumor; 7 (31.8%) were in polypectomy group, 1 (16.7%) in EMR-C group, and 1 (50%) in ESD group (p=0.868). Five patients underwent transanal excision to remove residual tumor. No residual tumor was found in additionally resected tissu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9. 3 months (range 0-122), and there were no recurrence. Conclusions: Endoscopic resection is an effective method in the treatment of small rectal carcinoids. However, long-term outcome remains to be elucidated by a large scaled prospective study. (Korean J Gastroenterol 2008;51:174-180)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