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 조직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호산구 식도염의 임상적 의의
목적: 호산구 식도염은 식도에 호산구가 심하게 침윤하여 삼킴 곤란이나 음식 막힘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만성적인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나라 식도 조직 검사상 호산구 식도염의 발견율과 임상 특징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서울대병원에서 2006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식도 생검을 받은 환자들의 조직소견을 후향 분석하여 고배율에서 20개 이상의 호산구가 관찰될 때 호산구 식도염이라 정하였고 각 환자들의 임상 특징과 내시경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과: 2년 8개월간 내시경 식도 점막 이상으로 식도 생검을 받은...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0, 55(3), , pp.162-168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호산구 식도염은 식도에 호산구가 심하게 침윤하여 삼킴 곤란이나 음식 막힘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만성적인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나라 식도 조직 검사상 호산구 식도염의 발견율과 임상 특징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서울대병원에서 2006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식도 생검을 받은 환자들의 조직소견을 후향 분석하여 고배율에서 20개 이상의 호산구가 관찰될 때 호산구 식도염이라 정하였고 각 환자들의 임상 특징과 내시경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과: 2년 8개월간 내시경 식도 점막 이상으로 식도 생검을 받은 환자 1,609명 중 7명(0.4%)에서 고배율당 20개 이상의 호산구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심와부 동통, 역류증세 및 소화장애 등의 비특이적인 소화기 증상과 백색 삼출과 백색 결절, 식도 용종 및 식도 비후증 등의 내시경 소견을 보였다. 결론: 생검을 시행한 환자들의 후향적인 식도 조직 재검토 결과 0.4%에서 호산구 식도염이 발견되었고, 임상 양상과 내시경 소견은 비특이적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호산구 식도염의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때 만성적인 삼킴 곤란 증상이 있거나 특히 산 억제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역류성 식도염 환자에서 호산구 식도염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세심한 진단 접근 및 식도 생검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향후 대규모 전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Eosinophilic esophagitis (EE)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characterized by abnormal dense eosinophilic infiltration of esophageal mucosa and results in dysphasia and food impaction. EE is being increasingly recognized in adults. The prevalence is largely unknow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etection rate of EE diagnosed based on pathologic criteria and to def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E in Korea. Methods: We reviewed biopsy specimen of the 1,609 patients who underwent esophageal biopsy from January 2006 till August 2008. The presence of more than 20 eosinophils per high power field in biopsy specimens was considered cases of EE. Clinical information and endoscopic findings were obtained. Results: 7 (0.4%) patients were diagnosed as EE based on pathologic criteria retrospectively. Clinical symptoms were epigastric pain (43%), regurgitation (29%), dyspepsia (14%), and no symptom (14%). Endoscopic findings were whitish exudates or granules (57%), esophageal polyp (29%), and hyperemic change (14%). Two patients received treatment. One patient with bronchial asthma improved after treatment with inhaled corticosteroid, and one patient improved after 8 week proton pump inhibitor therapy. Conclusions: Eosinophilic esophagitis was found in 0.4% of the total esophageal biopsied cases. Our results suggest that Korean patients with eosinophilic esophagitis showed symptoms mimicking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atypical endoscopic findings. Therefore, regardless of the gross appearance of the mucosa, meticulous diagnostic approaches are needed for patients with swallowing difficulty and lack of response to proton pump inhibitor.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162-168) |
---|---|
ISSN: | 1598-9992 2233-6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