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 환자에서 상피하종양과 위장관기질종양의 예측인자

목적: 위장관 상피하병변에서 종양성 병변을 비종양성 병변으로부터 감별하는 것은 환자의 적절한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 환자에서 종양성 상피하병변을 감별할 수 있는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에서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에 대해 EUS를 시행한 527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내시경적 또는 수술적 절제를 통하여 조직학적 확진이 가능했던 환자 84예를 선정하고, 종양 및 비종양성 상피하병변으로 분류하여 특성을 비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4, 64(4), , pp.189-197
Hauptverfasser: 차라리, Ra Ri Cha, 오혜원, Hye Won Oh, 유현선, Hyun Seon Yoo, 홍정우, Jeong Woo Hong, 이상수, Sang Soo Lee, 김홍준, Hong Jun Kim, 하창윤, Chang Yoon Ha, 김현진, Hyun Jin Kim, 김태효, Tae Hyo Kim, 이옥재, Ok Jae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위장관 상피하병변에서 종양성 병변을 비종양성 병변으로부터 감별하는 것은 환자의 적절한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 환자에서 종양성 상피하병변을 감별할 수 있는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에서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에 대해 EUS를 시행한 527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내시경적 또는 수술적 절제를 통하여 조직학적 확진이 가능했던 환자 84예를 선정하고, 종양 및 비종양성 상피하병변으로 분류하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84예의 상피하병변 중 상피하종양이 64예(76.2%), 비종양성 상피하병변은 20예(23.8%)였다. 상피하종양은 GIST (42.9%)와 평활근종(19.0%)이 가장 많았다. 성별(p=0.195), 병변의 크기(p=0.266), 에코상(p=0.051)은 상피하종양군과 비종양성병변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종양성 상피하병변군에 비하여 상피하종양군의 평균연령 (p=0.047), 호발연령대(p=0.047) 및 50세 이상 환자의 비율 (p=0.015)이 높았으며, 고유근층 기원(79.7%)이 많았다. (p=0.001). 상피하종양 중, GIST는 평활근종보다 환자의 평균연령이 높고(57.7세 vs. 47.0세, p=0.049), 50세 이상 (p=0.016), 종양의 위체부 위치(p<0.001), 고유근층 기원 (p=0.003)이 많았다. 다변량분석에서 환자의 연령(≥50세), 종양의 크기(≥30 mm), 고유근층기원이 점막하종양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고, 평활근종과 GIST의 감별인자는 찾을 수 없었다. 결론: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으로 50세 이상, 30 mm 이상, 고유근층 기원이 상피하종양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으며, 평활근종과 감별할 수 있는 GIST의 예측인자는 없으므로 고유근층 기원의 위 상피하종양은 GIST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치료 및 철저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Differentiating subepithelial tumor (SET) from non-neoplastic gastrointestinal subepithelial lesion (SEL) and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from leiomyoma are very important for proper man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actors that could predict the presence of SET and GIST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UGI) SELs. Methods: A total of 527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UGI SELs endosonographically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June 2013. Among these patients, histologic diagnosis was made in 84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by retrospectivel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Variables that could differentiate neoplastic from non-neoplastic SELs and GIST from leiomyoma were analyzed. Results: Among 84 patients with SELs, 64 (76.2%) had SETs including GIST (42.9%) and leiomyoma (19.0%). The patients` mean age (p=0.047), peak age distribution (p=0.047), proportions of patient ≥50 years (p=0.015), and number of proper muscle-originated lesions (p=0.001) were higher in neoplastic than non-neoplastic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0.195), size (p=0.266) and echogenicity (p=0.051) of the lesions. Older age (57.7 vs. 47.0 years, p=0.049), age ≥50 years (p=0.016), location in gastric body (p<0.001), and proper muscle origin (p=0.003)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GIST compared to leiomyom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tients` age ≥50 years, size ≥30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