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물질 섭취에 의한 식도 천공의 발생률과 임상 양상

목적: 식도 천공은 드물지만 치명적인 질환이다. 하지만 이물질 섭취에 의해 발생한 식도 천공의 발생률과 임상 양상에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 연구는 식도 내이물질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였던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식도 천공의 발생률과 임상 양상, 치료 결과를 알아보기위한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단일 응급의료센터에 이물질을 섭취하여 내원한 1,009명의 환자 중에서식도 이물이 확인된 1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고, 그 중에서 식도 천공이 발생한 18명의 전자의료...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5, 66(5), , pp.255-260
Hauptverfasser: 김지은, 유승목, 김윤정, 이종승, 안신, 서동우, 손창환, 류정민, 김원영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식도 천공은 드물지만 치명적인 질환이다. 하지만 이물질 섭취에 의해 발생한 식도 천공의 발생률과 임상 양상에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 연구는 식도 내이물질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였던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식도 천공의 발생률과 임상 양상, 치료 결과를 알아보기위한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단일 응급의료센터에 이물질을 섭취하여 내원한 1,009명의 환자 중에서식도 이물이 확인된 1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고, 그 중에서 식도 천공이 발생한 18명의 전자의료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식도 이물의 발생률은 19.4% (196/1,009)였고, 식도 천공의 발생률은 1.8% (18/1,009)였다. 식도 천공이 발생한 환자들에서 가장 흔한 이물질은 생선가시(72.2%)였고, 천공이발생한 환자의 66.7%에서 흉통을 호소하였다. 식도 천공이발생한 환자 18명 중 8명이 중환자실에서 입원 치료를 받았으나,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이물질 섭취에 의한 식도 천공의 발생률은 1.8%로 높지않았으나, 식도 내 이물질이 있을 때 식도 천공의 발생률은9.2%까지 상승하였다. 흉통은 식도 이물이 있는 환자에서 식도 천공을 시사하는 불길한 징후일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수술적 처치 혹은 보존적 처치를 받은 경우 대부분 좋은 임상경과를 보였다. Background/Aims: Esophageal perforation is a rare but often a life-threatening condition. However, the incid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esophageal perforation caused by ingested foreign body are unknow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esophageal perforation caused by ingested foreign body and evaluated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 of patients with esophageal perforation. Methods: Among a total of 196 adult patients with confirmed esophageal foreign body and complained of at least one of the related symptoms at the emergency department between January 2000 and July 2008, 18 patients with esophageal perforation due to esophageal foreign body inges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retrospectively reviewing the electric medical records. Results: The incidence of esophageal foreign body and esophageal perforation in adults was 19.4% (196/1,009) and 1.8% (18/1,009), respectively. Chest pain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nd fishbone was the most common foreign body causing esophageal perforation. Mediastinitis or mediastinal abscess occurred in 13 patients (13/18, 72.2%). About half (8/18) of the patients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but there was no in-hospital mortality.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esophageal perforation in patients with foreign body ingestion was low but it increased up to 9.2% in patients with esophageal foreign body. However, prognosis was favorable with timely proper treatment. Chest pain can be an ominous sign indicating the presence of esophageal perforation in patients with esophageal foreign body. KCI Citation Count: 3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