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저회를 여재로 활용한 건설현장 발생 탁수의 여과특성에 관한 연구 I. 실내 상향류 여과 컬럼 실험

비교적 입경이 크고 내외부 공극과 표면적이 잘 발달된 다공성 석탄저회를 건설현장 발생 탁수 내 부유물질의 유출저감에 활용할 수 있는 탁수여재로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석탄저회를 건설현장의 탁수 내 부유물질 유출저감용 여재로활용 시 부유물질 여과효율은 석탄저회의 입경과 분포, 탁수의 유입선속도 및 부유물질 유입부하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조사되었다. 입경 3~6 mm의 석탄저회와 입경 10~20 mm의 석탄저회는 부유물질 유입부하량이 증대됨에 따라 여과효율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입경 6~10 mm의 석탄저회는 부유물질 유입부하량...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19, 41(2), , pp.89-99
Hauptverfasser: 강은비(Eun Bi Kang), 주진철(Jin Chul Joo), 방기웅(Gi Woong Bang), 김진호(Jin Ho Kim), 박병욱(Byung Uk Park), 최종수(Jong Soo Choi), 김용혁(Yong Hyok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비교적 입경이 크고 내외부 공극과 표면적이 잘 발달된 다공성 석탄저회를 건설현장 발생 탁수 내 부유물질의 유출저감에 활용할 수 있는 탁수여재로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석탄저회를 건설현장의 탁수 내 부유물질 유출저감용 여재로활용 시 부유물질 여과효율은 석탄저회의 입경과 분포, 탁수의 유입선속도 및 부유물질 유입부하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조사되었다. 입경 3~6 mm의 석탄저회와 입경 10~20 mm의 석탄저회는 부유물질 유입부하량이 증대됨에 따라 여과효율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입경 6~10 mm의 석탄저회는 부유물질 유입부하량의 변화에도 가장 안정적인 여과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유물질 전체여과효율은 유입부에 위치한 석탄저회의 폐색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석탄저회를 여재로 적용 시 비교적 큰 입경의 석탄저회를 초기에 탁수와 접촉할 수 있는 유입부에 배치하여 여재 폐색을 지연시켜 장기간 여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석탄저회 여재는 다른 여재 대비 높은 여과효율을 나타냈고, 부유물질 유입부하가 증가하여도 안정적인 여과효율을 지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강우 시 부유물질 유입부하량이 단기간에 집중되는 건설현장에서는 다양한 입경의 석탄저회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단기간에 여재가 폐색되는 것을방지하고 높은 부유물질 여과효율을 유지가 가능하며, 여재로 활용 후 건설현장에 지표매립 및 기존 토양과 혼입하여 성토재로 활용이 가능한 현장 적용성이 우수한 여재로 판단된다. The feasibility for usage of porous bottom ash with various diameters and high surface areas as filter media to reduce the discharge of suspended solids (SS) in construction sites was investigated. As a filter media in construction site runoffs,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bottom ash to reduce the discharge of SS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diameter and the distribution of bottom ash, the linear velocity of turbid water, and the inflow SS loadings. Although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bottom ash with diameters of 3~6 mm and 10~20 mm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inflow SS loadings increased,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bottom ash with diameters of 6~10 mm was stable despite of the variations in the inflow SS loadings. Additionally, since the overall filtration efficiency of bottom ash filter media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logging of the inlet in filter media, the bottom ash with greater diameters was installed in the inlet in filter media, and longer life span of filter media was expected. Compared to other filter media,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bottom ash as a filter media was greater and more stable despite of the variations in the inflow SS loadings. Thus, the short-term clogging of bottom ash filter media was protected and greater filtration efficiency of SS can be maintained by efficiently arranging bottom ash of various diameters in construction sites. After the usage of bottom ash as an excellent filter media, the bottom ash can be used as landfill and mixing materials with existing soil at the construction site. KCI Citation Count: 1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19.41.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