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의 자가 점안 후 발생한 독성 각결막염 1예
목적: 결막염의 민간요법으로 모유의 자가 점안에 의해 발생한 독성 각결막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82세 여성이 3일 전부터 심해진 우안의 결막충혈과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2개월 전부터 개인 안과의원에서 알레르기결막염 진단 후 항알레르기 점안약 치료를 하였으나, 증상 호전이 없어 내원 3일 전부터 며느리의 모유를 우안에 점안하였다. 초진 시 우안의 교정시력은 0.3이었으며, 각막 중심부의 점모양각막상피짓무름, 각막후면침착물과 함께 각막 주변부에 하얀색의 작은 결절성 병변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앞방에 염증세포는...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9, 60(2), , pp.190-194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결막염의 민간요법으로 모유의 자가 점안에 의해 발생한 독성 각결막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82세 여성이 3일 전부터 심해진 우안의 결막충혈과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2개월 전부터 개인 안과의원에서 알레르기결막염 진단 후 항알레르기 점안약 치료를 하였으나, 증상 호전이 없어 내원 3일 전부터 며느리의 모유를 우안에 점안하였다.
초진 시 우안의 교정시력은 0.3이었으며, 각막 중심부의 점모양각막상피짓무름, 각막후면침착물과 함께 각막 주변부에 하얀색의 작은 결절성 병변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앞방에 염증세포는 관찰되지 않았고, 감염 유무 확인을 위한 혈청검사를 비롯한 혈액검사에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유 점안에 의한 독성 각결막염 진단 후 모유 점안을 중단하였으며,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점안 치료를 시작하였다. 치료 3주 경과 후 결막충혈과 각막 주변부의 침착 소견은 대부분 소실되었고, 우안 최대교정시력은 1.0으로 개선되었다.
결론: 모유의 점안은 독성 각결막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결막염시의 민간요법으로 모유 자가 점안을 하지 않도록 교외 지역의 고령층 주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정보를 알리고 교육해야 하겠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toxic keratoconjunctivitis resulting from the self-application of human breast milk as a traditional folk remedy for allergic conjunctivitis.
Case summary: An 82-year-old woman presented with pain and conjunctival hyperemia in the right eye that had been worsening for three days. Two months previously, she was treated with antiallergic eye drops for allergic conjunctivitis at another eye clinic. However, the symptoms did not improve. She applied her daughter-in-law’s breast milk into her right eye as a folk remedy for three days. The pain and conjunctival hyperemia worsened. At the initial visit, her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3 in the right eye. Slit lamp examination demonstrated conjunctival hyperemia, punctate epithelial erosion at the central cornea, corneal keratic precipitates and white-colored deposits in the peripheral cornea combined with irregularly shaped small nodules. There was no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There was no medical history of rheumatoid arthritis or tuberculosis. Blood tests for serum and other infectious and inflammatory levels for infection and inflammatory markers were performed followed by application of topical steroids and antibiotics with artificial tears. After 3 weeks of treatment, conjunctival hyperemia and corneal deposits had almost resolved an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improved to 1.0.
Conclusions: The self-application of human breast milk may cause toxic keratoconjunctiviti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actively, to inform and educate the elderly in rural areas not to use human breast milk as a folk remed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