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도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조직몰입 영향요인

목적: 본 연구는 간호인력난이 심한 일개 도시의 간호근무환경,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동료의지지,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현재 수간호사와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98명이었다. 이들은 일개 도시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였다. 2016년 4월 연구대상자들은 간호근무환경,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조직몰입에 대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근무환경은 이직경험(t=-2.58,...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9, 25(1), , pp.14-24
Hauptverfasser: 김진희(Kim, Jin Hee), 김민영(Kim, Min Yo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본 연구는 간호인력난이 심한 일개 도시의 간호근무환경,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동료의지지,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현재 수간호사와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98명이었다. 이들은 일개 도시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였다. 2016년 4월 연구대상자들은 간호근무환경,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조직몰입에 대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근무환경은 이직경험(t=-2.58, p=.01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근무부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81, p=.011).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병원 운영에 간호사의 참여(β=.23, p=.028)와 간호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β=.18, p=.022)였다. 회귀모형에서의 설명력은 18.2%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근무환경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함이 제시되었다. 특히 심각한 간호사 인력난이 있는 상황에서는 간호사의 충원과 더불어 간호시스템의 향상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leader-member exchange (LMX),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ne city with a severe nurse shortage. Methods: Participants were 198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with the same head nurse. They worked in fiv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one city. In April 2016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about their nursing work environment, LMX,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work environment by experience of turnover (t=-2.58, p=.010). LM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department (F=3.81, p=.011). Factors influencing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nurse participation in hospital affairs (β=.23, p=.028) and nurse manager ability, leadership and support (β=.18, p=.022). Explanatory power was 18.2% in the regression model.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in order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rovement of the nursing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supplementation of nurses particularly during a severe nurse shortage. KCI Citation Count: 2
ISSN:1225-9330
2288-4955
DOI:10.11111/jkana.2019.25.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