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佛眼에 사용된 琉璃의 材質特性 및 原料 供給地 推定
이 연구에서는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불안에 사용된 유리를 대상으로 재료과학적 특성 분석 및 원료 공급지 탐색을 실시하여 조성배경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분 분석 결과, 불안에 사용된 유리는 PbO-SiO2계 납유리로 확인되었다. 특히 유리의 발색에 관여하는 원소로 Cu, Fe, Zn이 함께 검출되고 기존의 분석된 납유리에 비해 함량이 높은 것으로 석불 눈의 검은자위를 표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첨가 종류와 양을 조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익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납유리의 용융온도는 실험 결과, 670℃...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Misulsa yŏn'gu 2018, 0(35), , pp.67-94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이 연구에서는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불안에 사용된 유리를 대상으로 재료과학적 특성 분석 및 원료 공급지 탐색을 실시하여 조성배경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분 분석 결과, 불안에 사용된 유리는 PbO-SiO2계 납유리로 확인되었다. 특히 유리의 발색에 관여하는 원소로 Cu, Fe, Zn이 함께 검출되고 기존의 분석된 납유리에 비해 함량이 높은 것으로 석불 눈의 검은자위를 표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첨가 종류와 양을 조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익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납유리의 용융온도는 실험 결과, 670℃로 보고된 바 있다. 미륵사지 출토 납유리의 Pb 성분이 70%대의 고납유리에 비해 불안에 사용된 납유리는 Pb 의 함량이 40%대이고 금속이온 성분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점을 볼 때 용융온도가 미륵사지에 비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불안에 사용된 납유리는 대부분 변질되거나 오염물이 부착된 상태로, 상시 외기에 노출된 외부와 경계부, 내부로 분류되어 풍화양상에 차이를 보인다. 내부의 경우 유리의 전형적인 풍화 양상으로 발현된 반면 외부는 표면 변색 및 결정화되고 풍화도가 높아 본래 모습을 잃은 상태였다.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하여 불안에 사용된 납 원료의 산지를 추정한 결과, 중국북부지역에서 입수되었거나, 국내 옥천대와 영남육괴에 속하는 zone 3의 전라도 지역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부여 대조사 석불에 사용된 납유리는 현재 풍화되어 본래 모습에서 변질된 상태이지만, 형태 및 성분 함량을 살펴볼 때 당시 석불의 불안을 표현하기 위해 고도의 유리 제작기술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동시대 주변에서 출토 또는 발견된 납유리에 대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석불 제작 시 고도의 유리 제작 기술이 사용되었고 이는 부여의 지역적 특수성이 반영된 특수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 rstand the construction background by analyzing the materialcharacteristics and searching the raw material source site for glass used for eyes of the stone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Daeijosa Temple, Bueyeo.
The result of component analysis of glass used for eyes of stone Buddha show that they arecommon lead glass system(PbO-SiO2). Especially, Cu, Fe and Zn were detected as a elements whichare involved in the coloring agent, and the component content is higher than other analyzed leadglass. It is considered that the type and amount of additives were intentionally controlled in oder toexpress the black eyes in glass production. Estimated melting point of lead glass excavated fromMireuksaji site was reported to be 670℃. Compared with the composition and melting temperatureof lead glasses from Mireuksaji site, the lead glass used for eyes of stone Buddha is estimated tohave a higher melting point than mireuksaji site.
Most of the lead glasses used for eyes of stone Buddha is deteriorated with pollutants. It isclassified into the outside part which are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environment, the boundarypart and the inside part, and the weathering pattern is different. Inside, It is appeared the typicalweathering patterns of glass. On the other hand, outer surface is high weathered due to discolorationand crystallization. Therefore, It is show different state from its original appearance. The result of theprovenance of lead raw material used for eyes of stone Buddhas, It is estimated that the rawmaterials |
---|---|
ISSN: | 1229-3326 |
DOI: | 10.52799/JAH.2018.12.34_35.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