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슬관절염에서 대퇴골 내측과 관절연골 병변의 Fat-suppressed 3D SPGR 영상
목 적: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대퇴내측과 관절연골의 국소적 결손의 범위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공명영상의 시상면 fat-suppressed 3D SPGR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또는 퇴행성 관절염 등 총 112예의 내측 대퇴골과의 자기공명영상을 관절경 소견과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관절경 소견은 Jackson (1992)의 등급 분류법을, 자기공명영상은 Disler (1996)의 등급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관절경 소견상 정상 10예, I기 26예, II기 36예, III기 21예 그리고 IV기 19예였다...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05, 40(6), , pp.652-658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 적: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대퇴내측과 관절연골의 국소적 결손의 범위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공명영상의 시상면 fat-suppressed 3D SPGR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또는 퇴행성 관절염 등 총 112예의 내측 대퇴골과의 자기공명영상을 관절경 소견과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관절경 소견은 Jackson (1992)의 등급 분류법을, 자기공명영상은 Disler (1996)의 등급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관절경 소견상 정상 10예, I기 26예, II기 36예, III기 21예 그리고 IV기 19예였다.
결 과: 관절경 소견상 정상으로 보인 10예에서 자기공명영상에서도 정상(0°)이었다. 관절경상 I기인 26예 중 11예(42.3%)에서만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관절연골 표면의 불규칙성을 보인 1°였고 나머지는 2°였다. 관절경 소견상 II기는 자기공명 영상 2° 또는 3°를 보였으며, III기는 3°를 보였다. IV기 19예 중 넓은 결손 13예(68.4%)만 자기공명영상 4°였다.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이용한 선별 검사의 민감도(sensitivity)는 97%, 특이도(specificity)는 100%, 정확도(accuracy)는 97.3%였다. 가중 kappa 값은 0.7194, 표준 오차는 0.053으로 일치도가 높은 소견을 보였다.
결 론: Fat-suppressed 3D SPGR영상은 퇴행성 관절염에서 초기와 아주 작은 병소를 제외하면 대퇴내측과 관절연골 병변의 정도, 깊이와 넓이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agittal fat-suppressed 3D SPGR MR imaging of the osteoarthritic medial femoral condyle in terms of extent and degree of a focal articular cartilage defect of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The MRI findings (Disler scale) of normal and osteoarthritic medial femoral condyles from 112 knees were prospectively compared with the arthroscopic findings (Jackson staging). The arthroscopic findings were normal in 10 cases, stage I in 26 cases, stage II in 36 cases, stage III in 21 cases and stage IV in 19 cases on arthroscopy.
Results: All 10 cases arthroscopy findings were grade 0 in MRI. Among the 26 knees in arthroscopic stage I, only 11 knees (42.3%) showed surface irregularities on MRI that were consistent with grade 1, otherwise grade 2. All cases of arthroscopic stage II showed grade 2 or grade 3. Stage III was grade 3 in all cases on MRI. Among the 19 knees in arthroscopic stage IV, 16 knees (84.2%) with a large defect showed grade 4 on MRI.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the MRI compared with the arthroscopic findings was 97%, 100% and 97.3%, respectively. The weighted kappa index was 0.7194 and the SE (standard error) was 0.053, suggesting significant consistency.
Conclusion: The sagittal fat-suppressed 3D SPGR MR imaging is valuable for determining the extent and degree of the articular cartilage lesion of the medial femoral condyle in an osteoarthritic kne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