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위 대퇴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역사상 불안정 분쇄 골절의 치료
목 적: AO분류상 A3.3형 골절인 대퇴골 전자간 역사상 불안정 분쇄골절에서 근위 대퇴정(proximal femoral nail, PFN)을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9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본원에서 A3.3형 대퇴골 전자간 역사상 불안정 분쇄 골절로 수술받은 22예 중 최소 6개월 이상, 골유합시까지 추시 가능한 1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60.2세였다. 수술 후 추시 중 골유 합기간, 경부 지연 나사 및 반회전 고정핀의 활강정도, 내고정물의 고정실패 및 역학적 실패...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05, 40(6), , pp.733-740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 적: AO분류상 A3.3형 골절인 대퇴골 전자간 역사상 불안정 분쇄골절에서 근위 대퇴정(proximal femoral nail, PFN)을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9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본원에서 A3.3형 대퇴골 전자간 역사상 불안정 분쇄 골절로 수술받은 22예 중 최소 6개월 이상, 골유합시까지 추시 가능한 1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60.2세였다. 수술 후 추시 중 골유 합기간, 경부 지연 나사 및 반회전 고정핀의 활강정도, 내고정물의 고정실패 및 역학적 실패, 불유합 등의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Jensen의 social function score와 Parker와 Palmer의 mobility scor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평균 골유합기간은 6.9개월이었다. 경부 지연 나사와 반회전 고정핀의 활강정도는 고정실패를 나타낸 2예를 제외한 14예에서 각각 평균 4.8 mm와 3.8 mm였다. 경부 나사 또는 반회전 고정핀의 지나친 전위와 함께 고정실패를 보였던 2예 중, 1예는 경부 나사의 골두 천공(cutout)을, 다른 1예에서는 소위 Z-effect를 보이면서 불유합을 동반하였다. 골수정 원위부에서의 대퇴골 간부골절은 1예에서 일어났다. Jensen의 social function score와 Parker와 Palmer의 mobility score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총 16예 중 각각 11예(68.8%)와 8예(50%)에서 수상전 기능을 완전히 회복하였다.
결 론: 대퇴골 전자간 역사상 불안정 분쇄골절, A3.3형 골절의 치료에 있어 근위 대퇴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근위 대퇴정은 이런 불안정 골절 치료에 유용한 내고정물로 사료되지만 지연나사와 근위부 반회전 고정핀의 지나친 전위는 개선이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treatment of unstable reverse obliqu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proximal femoral nail (PFN).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results of 16 cases of AO 31-A3.3 intertrochanteric fracture treated with PFN from September 2000 to February 2004 which could be followed up for more than six months and untill bone union. The mean age was 60.2 years old. We investigated the union time and amount of sliding of two screws (neck screw and anti-rotational hip pin) and complications such as fixation failure and nonunion.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Parker and Palmer mobility score and Jensen social-function score.
Results: All fractures were united and the mean union time were 6.9 months. The amount of sliding of the neck screws and anti-rotational hip pin was 4.8 mm and 3.8 mm on average in 14 cases, respectively.
Fixation failure and excessive migration of the screws occurred in two cases; One case showed so-called Z-effect of two screws (reciprocal movement of two screws) and nonunion. The other case showed proxi-mal migration and cutout of the neck screw. There was one femoral shaft fracture at the nail tip caused by a slip. Eight cases (50%) and eleven cases (68.8%) were fully recovered according to Parker and Palmer mobility score and Jensen social-function score, respectively.
Conclusion: We consider that PFN is a suitable implant for treatment of unstable reverse obliqu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However, the revision of implant design is recommended to prevent the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