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반치환술 후 비구 연골의 퇴화

=목 적: 기간에 따른 인공 금속 골두가 비구 관절 연골을 퇴화시키는 정도를 알아보고, 어떤 임상적 인자들이 비구 관절 연골의 퇴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8월부터 2002년 8월까지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 받은 192명(226 고관절)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고, 탈구, 감염 및 기능상의 문제를 보이지 않은 61명(65 고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Computer assisted vector wear analysis program을 변형하여 비구 관절 연골의 퇴화 정도를 측정하였으...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06, 41(3), , pp.385-389
Hauptverfasser: 문경호(Kyoung Ho Moon), 강준순(Jun Soon Kang), 조규정(Kyu Jung Cho), 이동주(Tong Joo Lee), 권대규(Dae Gyu Kwo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 적: 기간에 따른 인공 금속 골두가 비구 관절 연골을 퇴화시키는 정도를 알아보고, 어떤 임상적 인자들이 비구 관절 연골의 퇴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8월부터 2002년 8월까지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 받은 192명(226 고관절)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고, 탈구, 감염 및 기능상의 문제를 보이지 않은 61명(65 고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Computer assisted vector wear analysis program을 변형하여 비구 관절 연골의 퇴화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퇴화의 정도가 평균값보다 많은 군과 적은 군으로 나누어 퇴화에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되는 인자들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고관절 반치환술 후 측정된 비구 관절 연골의 선상 퇴화 변화는 평균 0.23 0.107 mm/yr, 부피 퇴화 변화는 평균 114 47.2 mm3/yr로 측정되었다. 평균 이상 및 이하의 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활동력 및 Harris hip score (HHS)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퇴화에 미치는 기여도에 있어서는 선상 및 부피 퇴화 변화에 대해 HHS가 역상관관계가 있었고 활동력은 상관관계에 있었다. KCI Citation Count: 1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