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다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후외측 불안정성 슬관절의 해부학적 재건술
=목 적: 후외측 불안정성 슬관절에서 이중 다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외측측부인대, 슬와건, 슬와비인대를 동시에 재건하는 새로운 해부학적 재건술과 posterolateral corner sling 술식과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3년까지 후외측 불안정성 슬관절 환자 46예에 대하여 25예는 posterolateral corner sling 술식을(A군), 그리고 21예에서는 해부학적 재건술을 시행(B군)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최소 12개월이상 추시하였으며, 수술시 관절경적 검사를 시행...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06, 41(3), , pp.226-232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 적: 후외측 불안정성 슬관절에서 이중 다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외측측부인대, 슬와건, 슬와비인대를 동시에 재건하는 새로운 해부학적 재건술과 posterolateral corner sling 술식과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3년까지 후외측 불안정성 슬관절 환자 46예에 대하여 25예는 posterolateral corner sling 술식을(A군), 그리고 21예에서는 해부학적 재건술을 시행(B군)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최소 12개월이상 추시하였으며, 수술시 관절경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Lysholm knee score 및 슬관절의 외측 불안정성과 경골의 외회전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결 과: 술 전 Lysholm knee score는 A군은 54.8점 그리고 B군은 54.4점이었으나 최종 추시 시는 각각 86.9점, 93.6점으로 증가하였다(p<0.05). 최종 추시 시 경골의 외회전 검사에서, A군은 12%에서 건측에 비해 5도 이상 경골 외회전이 증가하였으나 B군에서는 5%에서 5도 이상 경골 외회전이 증가하였다(p<0.05). 외측 불안정성의 경우 최종 추시 시 A군은 28%에서 건측에 비해 5 mm 이상 증가하였으나 B군에서는 14%에서 5 mm 이상 증가하였다(p<0.05).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