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위장관 출혈 환자에서 혈관조영술 및 색전술의 임상 성적: 출혈 부위 및 색전술 방식에 따른 분석

목적: 급성 위장관 출혈에서 혈관조영술 및 색전술의 상부, 중부, 하부위장관 부위에 따른 성적 및 합병증 빈도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선택적 색전술과 예방적 색전술의 임상 경과에 대한 분석도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급성 위장관 출혈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고 필요 시 색전술을 추가하였던 321명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혈관조영술에서 출혈 혈관이 발견된 경우 선택적 색전술을 시행하였으며(n=134), 출혈 혈관을 찾지 못하였더라도 다른...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8, 71(4), , pp.219-228
Hauptverfasser: 노수민, Soo Min Noh, 신지훈, Ji Hoon Shin, 김하일, Ha Il Kim, 이선호, Sun-ho Lee, 장기주, Kiju Chang, 송은미, Eun Mi Song, 황성욱, Sung Wook Hwang, 양동훈, Dong-hoon Yang, 예병덕, Byong Duk Ye, 명승재, Seung-jae Myung, 양석균, Suk-kyun Yang, 변정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급성 위장관 출혈에서 혈관조영술 및 색전술의 상부, 중부, 하부위장관 부위에 따른 성적 및 합병증 빈도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선택적 색전술과 예방적 색전술의 임상 경과에 대한 분석도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급성 위장관 출혈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고 필요 시 색전술을 추가하였던 321명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혈관조영술에서 출혈 혈관이 발견된 경우 선택적 색전술을 시행하였으며(n=134), 출혈 혈관을 찾지 못하였더라도 다른 검사에서 특정 부위의 출혈이 의심되었던 경우 예방적 색전술을 시행하였다(n=29). 혈관조영술의 병변 발견율, 선택적 색전술의 기술적 성공률, 색전술 전체의 임상적 성공률, 색전술 합병증 등을 검토하였다. 결과: 혈관조영술의 출혈 병변 발견율은 50.8% (163/321)였다. 상부, 중부, 하부위장관 등 출혈 부위에 따른 혈관조영술병변 발견율에 차이는 없었다. 다른 검사에서 원인 병소가 발견되었던 경우에 혈관조영술의 출혈 병변 발견율이 유의하게 높았다(59.7% vs. 35.8%, p
ISSN:1598-9992
2233-6869
DOI:10.4166/kjg.2018.71.4.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