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경골건 기능장애의 예비보고

목 적: 통증을 수반하는 성인의 후천성 편평족의 흔한 원인 질환인 후경골건 기능 장애는 동양인에서는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는 12예의 치료 경험이 있어 임상적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7년 1월까지 후경골건 기능 장애로 진단된 12예의 임상 소견과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32개월이다. 결 과: 12예 중 8예가 여성, 평균 나이는 45세였으며, 체질량지수 분류상 과체중이 5예, 비만이 5예 있었다. 4예에서 과거 외상력이 있으며 4예는 기존의 유연성 편평족에서 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08, 43(6), , pp.799-807
Hauptverfasser: 문도현(Dohyun Moon), 박홍기(Hongki Park), 최은석(Eunseok Choi), 김동구(Dong Goo Kim), 김민정(Minjung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 적: 통증을 수반하는 성인의 후천성 편평족의 흔한 원인 질환인 후경골건 기능 장애는 동양인에서는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는 12예의 치료 경험이 있어 임상적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7년 1월까지 후경골건 기능 장애로 진단된 12예의 임상 소견과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32개월이다. 결 과: 12예 중 8예가 여성, 평균 나이는 45세였으며, 체질량지수 분류상 과체중이 5예, 비만이 5예 있었다. 4예에서 과거 외상력이 있으며 4예는 기존의 유연성 편평족에서 진행하였다. 치료는 Johnson과 Strom의 임상단계에 따라 I의 3예에서 건초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임상단계 II에서는 장지굴근건 이행술, 종골 내측 전위 절골술을 시행하였고, 임상단계 I, III, IV의 각 1예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술전 미국정형외과족부족관절학회의 후족부-족관절 수치는 평균 58점, 수술 후 90점이었으며, 보존적 치료군에서 최초 평균 38점에서 추시상 평균 57점으로 증가한 소견을 보였다. 결 론: 한국에서도 통증을 수반하는 성인의 후천성 편평족의 감별진단에서 후경골건의 기능 장애를 고려해야 하고, 조기진단과 임상 평가에 의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Posterior tibialis tendon dysfunction (PTTD)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acquired flatfoot deformity in western countries. But it was known that they were very rare in eastern countries. So we want to report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of 12 patients with PTTD.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he results of 12 patients using clinical features and results from March 2000 to January 2007 and mean follow up periods is 32 months. Results: Average age was 45 years, 8 of 12 patients were female, 2 patient with hypertension and 1 with rheumatoid arthritis. 5 patients were overweighted and 5 patients were obese. 4 patients has a history of last trauma. 4 patients experienced progression of flatfoot. On behalf of Johnson and Strom classifications 6 cases were grade I, 4 cases were grade II, grade III, and grade IV was 1 case, relatively. As a treatment we used tenosynovectomy for 3 cases of grade I, additional FDL transfer was done for 2 cases of grade I and 2 cases of grade II. For other 2 patients of grade II flexor digitorum longus transfer and Medial displacement calcaneal osteotomy was done. Pathologic findings of tendon showed degenerative tendinitis. Lastly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was 3 cases of grade I, III, IV each. Averag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s hindfoot/ankle scoreFAS score was 58 and 90. Initial and follow up AOFAS scores of the conservative group was 38 and 57, relatively. Conclusion: As a cause of acquired flatfoot in adult, PTTD is not a rare disease any more in Korea. To prevent the disability and progression of flatfoot, careful clinical evaluation and proper treatment is important. KCI Citation Count: 2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