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족지 보행을 동반한 저항성 특발성 만곡족의 치료
목 적: 내족지 보행을 동반한 저항성 특발성 만곡족에 대해 대퇴골 및 경골 염전의 정도와 두 가지 수술적 치료법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3명의 환자에서 31족을 대상(이차적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4.3세)으로 하였다.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대퇴골 전염각 및 경골 염전각을 평가하였다. 내족지 보행의 정도에 따라 두 가지 술식을 적용하였다. 내족지 보행이 심하지 않은 1군(10족)에 대해서는 연부 조직 해리술, 중족부 절골술(내측 설상골의 개방형 쐐기 절골술 및 입방골의 폐쇄형 쐐기 절골술)과 전 경골건 이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09, 44(6), , pp.642-650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 적: 내족지 보행을 동반한 저항성 특발성 만곡족에 대해 대퇴골 및 경골 염전의 정도와 두 가지 수술적 치료법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3명의 환자에서 31족을 대상(이차적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4.3세)으로 하였다.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대퇴골 전염각 및 경골 염전각을 평가하였다. 내족지 보행의 정도에 따라 두 가지 술식을 적용하였다. 내족지 보행이 심하지 않은 1군(10족)에 대해서는 연부 조직 해리술, 중족부 절골술(내측 설상골의 개방형 쐐기 절골술 및 입방골의 폐쇄형 쐐기 절골술)과 전 경골건 이전술을 시행하였고, 내족지 보행이 심했던 2군(21족)에 대해서는 이들 술식과 함께 경골 과 상부 외회전 절골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수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평균 6.3년이었다. 결과 판정 시, Dimeglio 분류와 Clubfoot Assessment Protocol에 근거하여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 과: 이환측의 평균 대퇴골 전염각 및 경골 염전각이 증가를 보였다. 전체 31예 중 28예(90.3%)에서 우수 및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이중 2군에서는 우수 19예(90.5%), 양호 2예(9.5%)의 결과를 보였으며, 1군은 우수 6예(60%), 양호 1예(10%), 보통 3예(30%)의 결과를 보였다.
결 론: 내족지 보행을 동반하는 재발한 만곡족 환아들에서 연부 조직 해리술, 건 이전술, 중족부 절골술 및 경골 과 상부 외회전 절골술은 만곡족 환아에 있어서 잔존 변형의 교정에 효과적이다. Purpose: We evaluated the degree of femoral and tibial torsion in, and the efficacy of two operative procedures for, resistant idiopathic clubfoot with toe-in gai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one feet in 23 patients (average age at the time of revision surgery 4.3 years) were studied. CT was used to determine femoral anteversion and tibial torsion. Two different operative procedures were appl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oe-in gait: group 1 (10 feet whose toe-in gait was not severe) - soft tissue release, anterior tibial tendon transfer and mid-foot (cuboid closing and cuneiform opening) osteotomy; group 2 (21 feet which had relatively severe toe-in gait) - supramalleolar external rotation osteotomy of the distal tibia (SEROT), along with the same procedure as group 1. Mean follow-up period after revision surgery was 6.3 years. Results were assessed radiologically and clinically with the Dimeglio classification and Clubfoot Assessment Protocol.
Results: The mean femoral anteversion and external-tibial torsion of the affected side were increased. Twenty eight of 31 feet (90.3%) demonstrated excellent or good results. In group 2, we obtained 19 excellent (90.5%) and 2 good (9.5%) results. Group 1 had 6 excellent (60%), one good (10%) and 3 fair (30%) results.
Conclusion: Surgical treatment of the relapsed clubfoot with toe-in gait including soft-tissue release, tendon transfer and mid-foot osteotomy, along with SEROT in cases of severe toe-in gait, is effective in correcting residual clubfoot deformities.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