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 유합술 후 인접 분절에 발생한 척추관 협착증의 재수술
목적: 척추 고정술 후 인접분절에 발생한 척추 협착증에 대한 재수술 결과를 분석하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척추관 협착증으로 후방 감압술 및 후외방 유합술 후 인접부위에 발생한 인접분절질환으로 재수술을 시행받은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동일한 수술을 일차 수술로 시행 받은 21예를 나이, 성별, 유합 분절, 후방 추체간 유합술 유무를 보정하여 대조군으로 정하였다. 결과: Oswestry장애 점수(ODI)는 재수술군에서 수술 전 평균 32.1점에서 최종 추시 시 28.0점으로 평균 4.1점 호전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1, 46(3), , pp.205-211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척추 고정술 후 인접분절에 발생한 척추 협착증에 대한 재수술 결과를 분석하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척추관 협착증으로 후방 감압술 및 후외방 유합술 후 인접부위에 발생한 인접분절질환으로 재수술을 시행받은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동일한 수술을 일차 수술로 시행 받은 21예를 나이, 성별, 유합 분절, 후방 추체간 유합술 유무를 보정하여 대조군으로 정하였다.
결과: Oswestry장애 점수(ODI)는 재수술군에서 수술 전 평균 32.1점에서 최종 추시 시 28.0점으로 평균 4.1점 호전된 반면에, 대조군은 평균 12.4점 호전되어 재수술군에서 ODI 호전이 적게 되었다. (p=0.002) 합병증은 재수술군에서 불유합 1예, 근위 나사 이완 2예가 발생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재수술군 19예 중 12예에서 유합하지 않은 상위 요추 분절에 수술 전부터 추간판의 퇴행성 병변이 있었다. 이 12예의 ODI는 2.0점 호전되었다. 반면에 추간판의 퇴행이 없었던 7예에서는 ODI가 7.4점 호전되어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p=0.029)결론: 인접 분절에 발생한 척추관 협착증으로 재수술한 환자는 일차 유합술에 비해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았다. 그 원인은 수술 후 후기 합병증, 유합하지 않은 분절에 수술 전부터 존재하던 퇴행성 변화로 추정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results of revision surgery for spinal stenosis developed at the adjacent segment after spinal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patients underwent revision surgery by adjacent segment disease after decompression and posterolateral fusion with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for spinal stenosis. The control group was matched in terms of age, sex, and number of fused segment, posterior interbody fusion.
Results: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was changed from 32.1 before surgery to 28.0 at the fi nal follow up in the revision group.
Compared to the improvement from 27.6 to 15.2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 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p=0.002).
Revision group had 1 nonunion and 2 proximal screw loosening. There was no late complicatio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revision group, 12 of 19 patients had disc degeneration before surgery at the upper lumbar segments which was not included in the fusion.
They had an average 2.0 ODI improvement after revision surgery. On the other hand, 7 patients who had no degeneration at the unfused segment showed 7.4 ODI improvement.
Conclusion: The clinical result of revision surgery for spinal stenosis at the adjacent segment after spinal fusion was less satisfactory than the primary surgery. The contributing factors were late complications and preoperative disc degeneration at the segments which was not included in the fusion.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