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환자의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시행한 무시 멘트형 인공 관절 치환술

목적: 노인에서 발생하는 대퇴골 전자간 A2 이상의 골절에서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조사하여 고령의 노인 골절에서 시행한 인공 관절 치환술의 장점과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본원에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54명 5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평균78.8세(67-93)였으며 남자 13예, 여자 41예였다. 골절은 A2.1이 17예, A2.2가 23예 그리고 A2.3가 14예였다. 45예는 보행에 제한이 없었으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1, 46(5), , pp.399-404
Hauptverfasser: 김병학, 정영율, 기성찬, 윤대현, 류지훈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노인에서 발생하는 대퇴골 전자간 A2 이상의 골절에서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조사하여 고령의 노인 골절에서 시행한 인공 관절 치환술의 장점과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본원에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54명 5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평균78.8세(67-93)였으며 남자 13예, 여자 41예였다. 골절은 A2.1이 17예, A2.2가 23예 그리고 A2.3가 14예였다. 45예는 보행에 제한이 없었으나, 나머지 9예는 집안에서만 보행하였으며 그 중 4예는 보행기를 이용하였다. 수술은 후외측 도달법을 이용하였으며 전 예에서 무시멘트형 대퇴골 삽입물을 이용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수술시간, 출혈양, 보행시작, 입원 기간, 보행상태, 합병증, 재수술율로 평가하였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삽입물의 고정상태, 해리로 평가하였다. 결과: 54예 중 39예에서 내과적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22예는 2가지 이상이었다. 수술은 수상 후 평균 5.5일에 시행하였으며, 수술 시간은 평균 95분이었다. 출혈양은 평균 715 cc였다. 보행 시작은 수술 후 평균 5.9일에 시작하였으며, 입원 기간은 평균 19.2일이었다. 수술 후 평균 1.6년에 16예(29.6%)에서 사망하였다. 퇴원 후 추시 중 골절 전 보행 상태로 회복은 32예(59%)였으나 최종 추시에서는25예(46%)로 감소하였다. 합병증은 심부 감염 1예, 탈구 2예, 혈종 2예였다. 재치환술은 1예였으며 심부 감염이 원인이었다. 삽입물의 해리로 인한 재치환술은 없었다. 결론: 고령의 노인에서 발생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수술 시간과 출혈양 증가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조기 보행과입원 기간 단축의 장점이 있었다. 고령의 노인 환자에서 시행하는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positive effects and problems through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cementless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above type A2 in the elderly.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2006 to June 2009, 54 bipolar hemiarthroplasties were performed in 54 patients in our hospital. The mean age was 78.8 (67-93) years. Of these cases, 13 were male and 41 were female. The fractures were of type A2.1in 17 cases, type A2.2 in 23 cases and type A2.3 in 14 cases. There was no walking limitation in 45 patients, but 4 of the remaining 9patients had walking limitations and used walking aids at their residence. A posterolateral approach as well as cementless femoral stems was used in all the patients.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operation time, amount of bleeding, time to resume walking, duration of hospital stay, recovery of walking ability, and complications. Prostheses loss was evaluated on the follow-up radiographs. Results: Twenty-two of 39 patients who had medical co-morbidity had more than two medical co-morbidities. Operations were performed at a mean time of 5.5 days after the fracture. The mean operation time was 95 minutes. The average total amount of bleeding was of 715 cc. Patients began walking at an average of 5.9 days after operation and the average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19.2 days. Sixteen patients (29.6%) died at an average period of 1.6 years after their operation. At the time of discharge, 32patients (59%) had recovered w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