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굴곡형 인공관절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후 조기에 발생한 무균성 해리의 양상

목적: 고도굴곡형 인공관절(LPS-flex®, Zimmer, Warsaw, IN, USA)을 이용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후 발생한 조기 무균성 해리의양상 및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8월부터 2007년 3월까지 고도굴곡형 인공관절을 이용해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시행되었고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11명, 48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조기에 무균성 해리를 보인 25예를 해리군, 나머지 458예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발생기간은 평균 34.7개월(범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2, 47(1), , pp.35-40
Hauptverfasser: 최영준(Young-Joon Choi), 강정호(Jeong-Ho Kang), 이기원(Ki-Won Lee), 주윤석(Youn-Suk Joo), 박준석(Jun-Seok Park), 추한호(Han-Ho Cho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고도굴곡형 인공관절(LPS-flex®, Zimmer, Warsaw, IN, USA)을 이용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후 발생한 조기 무균성 해리의양상 및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8월부터 2007년 3월까지 고도굴곡형 인공관절을 이용해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시행되었고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11명, 48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조기에 무균성 해리를 보인 25예를 해리군, 나머지 458예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발생기간은 평균 34.7개월(범위, 12-78개월)이었다. 해리 양상은 대퇴 치환물 단독 발생이 22예(88%)였고 나이, 체질량지수, 술 전운동범위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술 전 내반 변형은 해리군(평균 8.92o)이 대조군(평균 5.21o)에 비해 유의하게 심했다(p=0.003). 또한 대퇴 치환물 후과부가 대퇴골 후과의 근위부로 돌출된 정도가 해리군(20.3%)에서 대조군(13.4%)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01). 결론: 고도굴곡형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조기 해리 현상은 주로 대퇴 치환물에서 발생하였으며 대퇴 치환물의 크기 선택과 원위 대퇴골 절제 깊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analyzed the patterns and causative factors of early aseptic loosening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R) using a legacy posterior stabilized (LPS)-fl ex prosthesis.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483 cases that occurred in 311 patients who underwent TKR using LPS-flex by single surgeon between August 2001 and March 2007 and who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2 years. The loosened group included 25cases that exhibited early aseptic loosening on radiograph, the remaining 458 cases were regarded as the control group, and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he mean loosening period was 34.7 months and femoral component loosening alone was found in 22 cases (88%).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 cant differences in age, body mass index, or pre-operative range of motion between the 2 groups, but varus deformity was more severe in the loosened group (mean 8.92o) than in the control group (mean 5.21o) (p=0.003). Protrusion of the femoral component proximally over posterior condyle of the distal femur were more prominent in the loosened group (mean 20.3%) than in the control group (mean 13.4%) (p=0.001). Conclusion: Early loosening after TKR using LPS-fl ex prosthesis developed mostly in the femoral component. Choosing a proper size for the femoral component and cutting level for the distal femur should be considered. KCI Citation Count: 2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