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부 해부학적 계측에 있어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의 비교
목적: 초음파를 이용한 요추부 해부학적 구조를 계측하여 초음파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에서 2011년 4월까지 요추부 통증을 주소로 본원 외래 내원하여 요추부 자기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환자 41명(남 22명, 여 19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환자의 진단으로는 추간판탈출증이 17예, 척추관협착증이 2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57.8세(18-72세)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요추 4번과 5번의 극돌기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하관절 돌기까지 최장거리 및 수평거리를 측정하였고,극돌기 중심에서 척추...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2, 47(2), , pp.140-145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초음파를 이용한 요추부 해부학적 구조를 계측하여 초음파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에서 2011년 4월까지 요추부 통증을 주소로 본원 외래 내원하여 요추부 자기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환자 41명(남 22명, 여 19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환자의 진단으로는 추간판탈출증이 17예, 척추관협착증이 2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57.8세(18-72세)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요추 4번과 5번의 극돌기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하관절 돌기까지 최장거리 및 수평거리를 측정하였고,극돌기 중심에서 척추체의 후연까지의 거리와 양측의 다열근의 두께 및 수평거리를 측정하여 자기공명영상에서 측정한 값과 비교하였다.
결과: 극돌기 중심에서 척추체의 후연까지 거리는 초음파와 자기 공명 영상에서 각각 요추 4번은 39.16 mm/39.53 mm, 요추 5번은38.32 mm/37.74 mm였다. 우측의 다열근의 두께는 초음파와 자기공명영상에서 요추 4번은 32.13 mm/33.84 mm, 요추 5번은 31.32mm/32.84 mm였으며 우측 다열근의 너비는 요추 4번은 24.84 mm/22.68 mm, 요추 5번은 26.05 mm/24.16 mm였다. 초음파와 자기공명영상검사를 이용한 측정에서 극돌기 중심에서 척추체의 후연까지의 거리와 다열근의 두께는 통계학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5),그외의 측정값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론: 초음파를 통한 요추부 해부학적 구조물의 계측은 극돌기 중심에서 척추체의 후연까지의 거리와 다열근의 두께 측정은 의미가 있는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for lumbar anatomical structure measureme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1 to April 2011, 41 patients (22 males, 19 females) with back pain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and underwent lumb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selected. In each level of L4 and L5, we measured the longest distance and horizontal distance between each inferior articular process based off a spinous process. We also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spinous process tip and the vertebral body posterior surface and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multifi dus muscle. All distances were measured with ultrasonography and MRI and the two measurement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Using ultrasonography and MRI, we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spinous process tip and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body. The distances were 39.16±8.71 mm/39.53±6.01 mm at L4 and 38.32±9.66 mm/37.74±10.54 mm at L5. The right multifi dus muscle thickness measurements were 32.13±10.79 mm/33.84±9 mm at L4 and 31.32±10.04 mm/32.84±12.28 mm at L5. The measuring distance between the spinous process center to the posterior vertebral body surface and thickness of multifi dus muscles by ultrasonography and MRI had signifi cant correlations (p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