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관절 주위 악성 골종양 절제술 후 마디 간 동종골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목적: 슬관절 주위의 악성 골종양 절제술 후 재건에 사용되는 마디 간 동종골 이식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합병증의 특성과 치료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슬관절 주위에서 발생한 원발성 악성 골종양으로 인해 마디 간 절제술과 동종골 재건술을 시행한 21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22세, 평균 추시기간은 46.4개월이었다. 원발 종양으로는 골육종이 12예로 가장 많았다. 대퇴골이 12예, 경골이 9예였으며, 골수내정(3예), 금속판(12예), 골수내정과 금속판(6예...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3, 48(1), , pp.9-15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슬관절 주위의 악성 골종양 절제술 후 재건에 사용되는 마디 간 동종골 이식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합병증의 특성과 치료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슬관절 주위에서 발생한 원발성 악성 골종양으로 인해 마디 간 절제술과 동종골 재건술을 시행한 21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22세, 평균 추시기간은 46.4개월이었다. 원발 종양으로는 골육종이 12예로 가장 많았다. 대퇴골이 12예, 경골이 9예였으며, 골수내정(3예), 금속판(12예), 골수내정과 금속판(6예)을 사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까지 21예의 이식골 모두 제거 없이 유지되었다. 이식골의 평균 길이는 16.7 cm였으며, 골유합은 평균 10.9개월에 이뤄졌다. 불유합은 6예(골간부: 3예, 골간단부: 3예)에서 발생하였는데, 1예에서는 자가골 이식술, 4예에서 자가해면골 이식술과 고정 방법 변화를 통해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고정방법 변화없이 금속판을 추가한 1예에서는 추가 수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슬관절 주위의 재건술에서 마디 간 동종골 이식술은 지속성과 기능면에서 좋았다. 자가골 이식술과 고정 방법의 변화를 이용하면 이식골의 제거 없이도 불유합을 해결할 수 있었다. Purpose: We aimed to assess the treatment outcomes and factors affecting bone union of intercalary allograft reconstruction afterprimary malignant bone tumor resection around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patients who underwent intercalary allograft reconstruction after resection of a malignanttumor of femur or tibi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6.4 months. Location of the tumor was asfollows: femur in 12 cases and tibia in 9. Osteosarcoma was the most common tumor (12 cases). Intercalary allograft was internallyfixed with an intramedullary (IM) nail in 3 cases, with a plate in 12 cases and with an IM nail combined with a plate in 6 cases. Thesurvival of the grafts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evaluated. Factors affecting bone union and complications were assessed.
Results: All allografts survived without removal. The average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functional score was 27. The meanlength of the allograft was 16.7 cm and bony union took 10.9 months, in average. Nonunion occurred in 6 cases: at the diaphysealside in 3, and the remaining 3 at the metaphyseal side. The graft length was shorter than average in all the diaphyseal side nonunioncases and longer than average in all the metaphyseal side nonunion cases. All cases of nonunion obtained bone union afteradditional operations (autologous bone graft alone: 1, bone graft with hardware change: 5).
Conclusion: Survival and functional outcomes of intercalary allograft were satisfactory. Long allograft showed a tendency offracture or nonunion at the metaphyseal side. Nonunion could be managed with additional operation without allograft removal.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