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 비골 골절 환자에서의 천비골 신경의 변이적 주행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위 비골 골절의 수술적 접근 시 발견되는 천비골 신경(superficial peroneal nerve)의 변이적 주행을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원위 비골 골절의 측방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 시 접하게 된 천비골 신경의 변이적 주행을 확인하기 위해 238예의 증례를 연구군으로 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238예 중 10예(4%)에서 신경의 비정상적인 주행을 확인하였으며 이 신경은 원위 비골 위를 평행하게 주행하다가 비골 말단으로부터 근위 3.5 cm 높이에서 비골의 전연을 벗어...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3, 48(1), , pp.22-26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위 비골 골절의 수술적 접근 시 발견되는 천비골 신경(superficial peroneal nerve)의 변이적 주행을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원위 비골 골절의 측방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 시 접하게 된 천비골 신경의 변이적 주행을 확인하기 위해 238예의 증례를 연구군으로 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238예 중 10예(4%)에서 신경의 비정상적인 주행을 확인하였으며 이 신경은 원위 비골 위를 평행하게 주행하다가 비골 말단으로부터 근위 3.5 cm 높이에서 비골의 전연을 벗어나면서 급격하게 전방으로 진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저자들은 또한 3예의 천비골 신경 직접 손상을 확인하였다. 이 중 1예는 완전 절단된 소견을 보였으며 다른 1예에서는 부분 절단 소견을, 나머지 1예에서는 신연 손상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차례대로 비골 원위 말단부에서 각각 2.5 cm, 5 cm, 6 cm 떨어진 위치에서 천비골 신경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족관절 골절 환자에서 감각 이상을 포함한 세심한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는 것과 원위 비골에 절개 및 박리를 시행할 때 천비골 신경의 변이적 주행에 대해 인지하고 주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anomalous location and course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SPN), whichwere come across during exposure of distal fibula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operated on 238 cases of ankle fractures, and examined the anomalous location and course of SPNaround the distal part of the fibula. The study was performed prospectively.
Results: The mean length of surgical exposure was 9.8 cm. In 10 (4%) of 238 cases, the nerve was anomalous in its course, whichwas in parallel with the distal fibula and rapidly curved anteriorly at 3.5 cm proximal to the tip of the fibula. We found 3 cases ofinjury to the SPN; one was completely transected, the second was partially transected, and the third was stretched over the fracturesite, at 2.5 cm, 5 cm, and 6 cm proximal to the tip of distal fibula, respectively.
Conclusion: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 detailed neurologic examination, including sensory test for patients with anklefractures, because of the variation in course of the SPN around the distal fibula.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