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물김치의 품질특성
클로렐라 추출물을 식품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클로렐라 추출물을 0-0.1% 첨가한 물김치를 제조하여 10에서 7일간 발효시키면서 pH, 적정산도, 젖산균수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 3일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5일 후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조건에서 pH 5.14-5.28에서 4.52-4.59로, 대조구는 pH 5.24에서 4.76으로 하락하였다. 적정산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6일째 대조구는 0.14%, 클로렐라 추출물 첨가구는 0.16-0.19%로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8, 61(2), , pp.125-130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클로렐라 추출물을 식품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클로렐라 추출물을 0-0.1% 첨가한 물김치를 제조하여 10에서 7일간 발효시키면서 pH, 적정산도, 젖산균수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 3일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5일 후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조건에서 pH 5.14-5.28에서 4.52-4.59로, 대조구는 pH 5.24에서 4.76으로 하락하였다. 적정산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6일째 대조구는 0.14%, 클로렐라 추출물 첨가구는 0.16-0.19%로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4일에 최대값을 보였으며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의 함량은 낮았다. 클로렐라 추출물에 의하여 젖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어 발효 4일까지 클로렐라 추출물 물김치에서 젖산균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는 물김치의 색과 향에 대한 기호도를 낮추지 않았으며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를 다소 증진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클로렐라 추출물 물김치를 4에서 15일간 저장하는 동안 pH의 변화는 미미하였고 적정 산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젖산균 약간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 10 7 CFU/g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The quality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Mul-kimchi prepared with addition of 0.02, 0.05, and 0.1% (w/v) chlorella water extract (CWE)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for 7 days at 10℃. The addition of CWE powder stimula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considerably improved the acid production. After 6 days fermentation, titratable acidity of CWE Mul-kimchi was 0.16-0.19% and was higher than that (0.14%) of Mul-kimchi made without CWE. The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were increased rapidly in CWE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for 4 days. The sensory quality of Mul-kimchi added with 0.05-0.1% CWE powder lightly enhanced in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among the tested Mul-kimchis preparations. When CWE Mul-kimchi preparations fermented for 6 days were incubated at 4℃ for 15 days, their titratable acidities were continuously increased up to 0.21-0.26% but number of viable lactic acid bacteria were well maintained above 10 7 CFU/g through storage period. |
---|---|
ISSN: | 1976-0442 2234-79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