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암에서 면역조직화학법에 의한 14-3-3-sigma 및 -zeta의 발현

목적 : 부인암 중 발생빈도가 비교적 흔한 상피성 난소암에서 14-3-3ζ 단백과 14-3-3σ 단백의 발현 여부를 보고자 하였고 발현이 된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발현되는지, 그리고 조직 내에서의 발현은 어느 부위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의 양성종양으로 수술하여 획득한 난소 중 조직병리학적으로 정상으로 판정된 10예의 난소조직과 난소종양으로 수술한 환자 중 조직병리학적으로 장액성 및 점액성 양성 및 악성종양으로 진단받은 조직 각각 10예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시행하여 관찰하였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2005, 16(2), , pp.113-122
Hauptverfasser: 박지권, Ji Kwon Park, 신정규, Jeong Kyu Shin, 최원준, Won Jun Choi, 이순애, Soon Ae Lee, 이종학, Jong Hak Lee, 백원영, Won Young Pai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부인암 중 발생빈도가 비교적 흔한 상피성 난소암에서 14-3-3ζ 단백과 14-3-3σ 단백의 발현 여부를 보고자 하였고 발현이 된다면 어떠한 양상으로 발현되는지, 그리고 조직 내에서의 발현은 어느 부위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의 양성종양으로 수술하여 획득한 난소 중 조직병리학적으로 정상으로 판정된 10예의 난소조직과 난소종양으로 수술한 환자 중 조직병리학적으로 장액성 및 점액성 양성 및 악성종양으로 진단받은 조직 각각 10예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시행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 14-3-3σ 단백의 발현은 정상 난소보다 양성 상피종양세포에서 그리고, 양성 상피종양세포보다 악성 상피세포에서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14-3-3ζ 단백의 발현은 정상난소와 양성 종양상피세포에 비해 악성 종양상피세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14-3-3 (σ,ζ) 단백의 발현은 장액성 및 점액성 악성종양 상피세포의 세포질과 핵에서 모두 관찰되었으며 핵에 비해 세포질 내에서 조금 강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 14-3-3ζ 단백은 상피성 난소암 발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 단백의 발암과정에서의 보다 더 확실한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expression level, localization and distribution of 14-3-3σ and ζ proteins in human ovarian epithelial carcinoma cells. Methods : Epithelial carcinoma, benign epithelial tumor and normal ovarian tissues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For this study, mucinous adenoma (n=10), serous adenoma (n=10), mucinous adenocarcinoma (n=10) and serous adenocarcinoma (n=10) of ovary and normal ovarian tissue (n=10) were analyzed. Goat anti 14-3-3σ polyclonal antibody and rabbit anti-14-3-3ζpolyclonal antibody were used as primary antibodies. Results : The 14-3-3σ protein expression in the glandular epithelium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normal ovary, cystadenoma and cystadenocarcinoma. The 14-3-3ζ protein expression in the glandular epithelium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cystadenocarcinoma than for cystadenoma and normal ovary. The 14-3-3σ and ζ proteins were immunohistochemically demonstrated in the nuclei and more preferably in the cytoplasm of adenocarcinoma epithelial cells. Conclusion : The expression of 14-3-3ζ protein increased significantly in ovarian adenocarcinoma compared with adenoma and normal ovary. It is suggested that 14-3-3ζ protein express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bnormal growth of ovarian epithelial tumor cell. KCI Citation Count: 0
ISSN:2005-0380
2005-0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