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타성 손상

연구 계획: 문헌 고찰. 목적: 편타성 손상에 대한 최신 지견의 소개. 선행 문헌의 요약: 편타성 손상의 정의, 증상, 치료에 대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대상 및 방법: 관련된 문헌의 고찰. 결과: 편타성 손상은 경추부에 가속-감속 기전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면서 골 또는 연부조직에 손상이 발생하여 경부 근육, 승모근, 견갑골 사이의 등, 어깨와 팔의 통증, 후두하 두통이 나타난다. 감각 기능 이상, 근력 저하, 심부건 반사 소실 등의 신경학적 징후와 현훈, 기억소실, 연하곤란, 시각 장애, 이명, 청력상실, 측두-하악 관절장애...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2016, 23(1), , pp.63-69
Hauptverfasser: 박문수, 문성환, 김태환, 오재근, 양명호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연구 계획: 문헌 고찰. 목적: 편타성 손상에 대한 최신 지견의 소개. 선행 문헌의 요약: 편타성 손상의 정의, 증상, 치료에 대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대상 및 방법: 관련된 문헌의 고찰. 결과: 편타성 손상은 경추부에 가속-감속 기전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면서 골 또는 연부조직에 손상이 발생하여 경부 근육, 승모근, 견갑골 사이의 등, 어깨와 팔의 통증, 후두하 두통이 나타난다. 감각 기능 이상, 근력 저하, 심부건 반사 소실 등의 신경학적 징후와 현훈, 기억소실, 연하곤란, 시각 장애, 이명, 청력상실, 측두-하악 관절장애의 비특이적 증상, 우울증, 급성 스트레스 장애, 공포 회피증 등의 정신과적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편타성 손상은 자연 치유된다고알려져 있고, 만성 통증으로의 진행을 막기 위해 다양한 치료방법이 사용되나,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자마다 다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결론: 편타성 손상의 진단 및 자연경과에 대한 학문적 진보에 따라 이에 적합한 치료가 필요할 것이다. Study Design: Review of the literature. Objectives: To present an overview of current research on whiplash inju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controversies over the definition, symptoms, and treatment of whiplash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Results: Symptoms of whiplash injury caused by an acceleration-deceleration force may present as widespread pain involving the neck or trapezius muscles, the interscapular area, the shoulders and arms, or as suboccipital headaches. Accompanying symptoms may include neurologic symptoms such as sensory dysfunction, motor weakness, or deep tendon reflex loss; non-specific symptoms such as dysphagia, dizziness, visual disturbances, tinnitus, deafness, memory loss, 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cute stress syndrome, or fear avoidanc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facilitates spontaneous resolution of whiplash injury, which is a self-limiting disorder, has been shown to be prevention of the acute-to-chronic pain transition. Yet in spite of this knowledge the efficacy of several treatment methods for whiplash injury remains controversial. Conclusions: The appropriateness of treatment for whiplash injury should be evaluated on the basis of up to date academic research on its diagnosis and natural history. KCI Citation Count: 0
ISSN:2093-4378
2093-4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