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구강자각증상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구강건조증상과 다양한 구강자각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고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근로자의 구강건 강증진을 도모하는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2년 8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전라북도 소재의 5개의 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건조증상은 사무직 근로자가 2.59점으로 영업직 근로자 1.71점보다 유의하게 구강건조증상 정도가 높았다 (p<0.001). 2. OHIP-14는 비정규직이 2.05점, 정규직...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Chiwisaeng gwahakoeji 2014, 14(1), , pp.51-58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구강건조증상과 다양한 구강자각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고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근로자의 구강건 강증진을 도모하는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2년 8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전라북도 소재의 5개의 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건조증상은 사무직 근로자가 2.59점으로 영업직 근로자 1.71점보다 유의하게 구강건조증상 정도가 높았다 (p<0.001). 2. OHIP-14는 비정규직이 2.05점, 정규직이 1.82점으로 나타났다(p<0.00 1). 3. 구강건조증상은 OHIP-14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456). OHIP-14는 연령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r=0.209), 최종학력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136). 4. 구강건조증상이 심할수록(β=0.383, p<0.001), 연령이 높을수록(β=0.221, p<0.001), 치과질환을 갖고 있다고 느꼈을 때(β=0.146, p<0.01) OHIP-14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참고하여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국가보건정책 부분에서 산업구강보건 개선을 위해 적극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ymptom of dry mouth of workers, their subjective oral symptom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geared toward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workers in five different companies in North Jeolla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20,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office workers got 2.59 in oral dryness, and the sales associates got 1.82. The oral dryness of the former was severer than that of the latter (p<0.001). The irregular workers got 2.05 in OHIP-14, and the regular workers got 1.82 (p<0.001). Symptom of dry mouth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OHIP-14 (r=0.456). OHIP-14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r=0.209) and negatively with academic credential (r=.0.136). OHIP-14 was more significantly affected when their symptom of dry mouth was severer (β=0.383, p<0.001), when they were older (β=0.221, p<0.001) and when they felt they had oral diseases (β=0.146, p<0.01). In conclusion, qualit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oral health of industrial workers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workers, and the govern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related policy setting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industrial workers. |
---|---|
ISSN: | 1598-4478 2233-76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