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이온을 첨가한 장석계 도재의 분광 측색학적 평가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장석계 도재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은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은 첨가가 장석계 도재의 색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조군은 은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 장석계 도재를 이용하고, 은이 5%, 10%, 20%, 30%의 농도로 첨가된 장석계 도재를 4개의 실험군으로 하여 총 5개의 그룹을 이용하였고, 각 그룹당 각 5개씩 디스크 형태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편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L, a, b값을 2번씩 측정하였다. 각 값은 SPSS를 이용하여 일원분산 통계 분석...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2015, 31(1), , pp.20-25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장석계 도재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은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은 첨가가 장석계 도재의 색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조군은 은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 장석계 도재를 이용하고, 은이 5%, 10%, 20%, 30%의 농도로 첨가된 장석계 도재를 4개의 실험군으로 하여 총 5개의 그룹을 이용하였고, 각 그룹당 각 5개씩 디스크 형태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편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L, a, b값을 2번씩 측정하였다. 각 값은 SPSS를 이용하여 일원분산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은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각 그룹간 L값은 거의 비슷하였고, a값은 점차 증가하고, b값은 점점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은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ΔE 값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은 이온이 함유된 도재와 10%의 은 이온이 함유된 도재는 ΔE값이 3.7 이하였다. 결론: 장석계 도재에 은을 첨가하는 것은 도재의 색조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10% 이하의 이온을 첨가한 장석계 도재는 임상적으로 받아들여질만 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shade of feldspathic porcelain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silver 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control group was conventional feldspathic porcelain with no silver io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the feldpathic porcelain with 5%, 10%, 20%, 30% silver ion. The number of specimens on the each group was 5.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CIE) L*a*b* parameters were recorded twice for each specimen with a spectrophotometer (Model CM-2600d, Minolta, Japan). One-way 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L value was similar. a value was increasing and b value was decreasing with silver 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ΔE was increasing according to silver ion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shade of feldspahtic porcelain was influenced by silver ion. Ag ion under 10% concentration is acceptable clinicall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384-4353 2384-4272 |
DOI: | 10.14368/jdras.2015.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