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정저수지의 부영양화 특성 및 주요 변수 간의 상호관계
본 연구의 목적은 탑정저수지의 부영양화 특성을 알고, 주요변수간의 상호관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 여 1995년부터 2007년까지의 환경부의 수질 측정 자료 를 이용하여 다양한 변수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수질 변 수는 연별, 계절별로 변이양상을 보였다. 탑정저수지의 TN과 TP의 연평균 값은 각각 1.78 mg L-1, 0.03 mg L-1 로, TN : TP의 비율은 76으로 나타나 탑정저수지 내의 질 소는 연중 부영양화를 초과한 상태이며 인은 호소의 1차 생산력에 대한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잠재성을 갖는 것 을 알 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생태와 환경 2009, 42(3), , pp.382-393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의 목적은 탑정저수지의 부영양화 특성을 알고,
주요변수간의 상호관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
여 1995년부터 2007년까지의 환경부의 수질 측정 자료
를 이용하여 다양한 변수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수질 변
수는 연별, 계절별로 변이양상을 보였다. 탑정저수지의
TN과 TP의 연평균 값은 각각 1.78 mg L-1, 0.03 mg L-1
로, TN : TP의 비율은 76으로 나타나 탑정저수지 내의 질
소는 연중 부영양화를 초과한 상태이며 인은 호소의 1차
생산력에 대한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잠재성을 갖는 것
을 알 수 있다. TP는 8월에 강수에 의한 희석 현상을 보
이며, SS의 월별 변화는 CHL과 같은 양샹을 보였다.
BOD와 COD의 연평균 값은 각각 1.61 mg L-1, 4.23 mg
L-1로 나타났으며 연별 변화 양상은 강수량과 관련되었
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탑정저수지 내의 두 사이트는
공간적인 변이의 특성을 거의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탑정저수지 내의 TSI (CHL), TSI (TP) 및 TSI (SD)는
중영양-부영양 상태를 보였다. 한편, TSI (TN)은 계절에
관계없이 전체 호소 내에서 TN 농도가 풍부한 부영양-과
영양 상태를 보였다. CHL와 다른 수질 변수(TP, TN, 그
리고 SD) 사이의 관계를 로그-전환 회귀분석을 통해 분
석하였다. TP에 대한 CHL의 계절별 회귀분석에 따르면
CHL의 변이는 TP의 변이에 의해 37% (R2=0.37, p⁄
0.001, r=0.61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N은 낮
은 상관관계(R2=0.03, p¤0.05)를 보였다. 또한 SD에 대
한 CHL의 회기 분석에서는 CHL이 SD의 변이에 의해
33% (R2=0.33, p⁄0.003, r=0.58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
타나 탑정저수지의 SD는 CHL에 의하여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TP는 탑정저수지의 부영양화 현상을
예측하는 핵심인자로 사료되므로 부영양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수계로부터 인의 유입의 철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long-term annual and seasonal trophic
state of Topjeong Reservoir using conventional variables of Trophic State Index
(TSI) and to determine the empirical relations between the trophic parameters. For
the analysis, we used water quality dataset of 1995~2007, which is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nd the number of parameters was 9. Annual ambient
mean values of TN and TP were 1.78 mg L-1 and 0.03 mg L-1, respectively and TN :
TP ratios averaged 76, indicating that this system was nitrogen-rich hypertrophic,
and was probably phosphorus-limitation for algal growth. Therefore, nitrogen varied
little with seasons and years, and total phosphorus (TP) varied depending on season
and year. Monsoon dilutions of TP occurred in August and monthly fluctuations of
suspended solid (SS) was similar to those of chlorophyll-a (CHL). Annual mean values
of BOD and CODMn were 1.61 mg L-1 and 4.23 mg L-1, respectively and the interannual
values we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intensity of annual rainfal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rophic variables between the two sampling sites. Mean
values of Trophic State Index (TSI, Carlson, 1977), based on TN, TP, CHL, and SD
(Secchi depth), turned out as eutrophic state, except for the TN (hypertrophic). Regression
analyses of log-transformed seasonal CHL against TP and TN showed that variation
of the CHL was explained 37% by the variation of T |
---|---|
ISSN: | 2288-1115 2288-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