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아청소년에서 로마 Ⅲ 기준을 이용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진단: QPGS (Questionnaire on Pediatric Gastrointestinal Symptoms)의 유용성

목 적: 저자들은 한국 소아청소년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는 데 로마 Ⅲ 기준을 기초로 한 소아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이 유용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로마 Ⅲ 기준을 이용하여 소아 청소년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유병률을 살펴보았다.  방 법: 소아 소화기 전문의의 문진과 신체검진을 통한 진단과 소아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을 기초로 한 진단의 일치 정도를 비교하였다. 138명의 환자와 그들의 보호자들이 설문지를 완성해주었다. 진단의 일치도는 카파(Kappa) 값을 구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소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2009, Hepatology & Nutrition, 12(2), , pp.120-132
Hauptverfasser: 김동순, 노한내, 김규리, 이희우, 윤지현, 엄지현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 적: 저자들은 한국 소아청소년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는 데 로마 Ⅲ 기준을 기초로 한 소아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이 유용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로마 Ⅲ 기준을 이용하여 소아 청소년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유병률을 살펴보았다.  방 법: 소아 소화기 전문의의 문진과 신체검진을 통한 진단과 소아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을 기초로 한 진단의 일치 정도를 비교하였다. 138명의 환자와 그들의 보호자들이 설문지를 완성해주었다. 진단의 일치도는 카파(Kappa) 값을 구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소아 소화기 전문의의 진단에서 유병률은 기능성 소화불량(39.1%), 과민성 장 증후군(38.4%), 기능성 복통(18.8%) 순이었다. 설문을 기초로 한 진단에서는 과민성 장 증후군 (39.1%), 기능성 소화불량(29.7%), 기능성 복통(21.7%) 순이었다. 진단 일치도는 높았으며 (κ=0.72, p=0.00), 진단이 일치되지 않은 경우는 대부분 대변 형태 및 대변 횟수에 관한 항목에서의 차이 때문이었다.  결 론: 소아 청소년 기능성 위장관 질환 진단의 선별검사로서 로마 III 기준을 기초로 한 소아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은 비교적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우리나라처럼 짧은 시간에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환경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We diagnosed pediatric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Rome Ⅲ criteria and investigated the clinical validity of QPGS-Rome Ⅲ. Methods: Diagnosis based on QPGS was compared with the physician’s diagnosis based on Rome Ⅲ criteria. One hundred and thirty eight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mpleted the QPGS. Agreement rates were measured using Kappa method. Results: In physician’s diagnoses, the most prevalent disorders were functional dyspepsia (39.1%), irritable bowel syndrome (38.4%),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18.8%). Among QPGS based diagnoses, the most prevalent disorders were irritable bowel syndrome (39.1%), functional dyspepsia (29.7%),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21.7%). The agreement rate was substantial (κ=0.72, p=0.00). Diagnostic disagreements probably resulted from different patient responses to bowel movement form and bowel frequency. Conclusion: Functional dyspepsia,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were the most common disorders by Rome Ⅲ criteria in the Korean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The agreement rate between physician’s diagnoses and QPGS based diagnoses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QPGS-Rome Ⅲ in Korean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QPGS seems to be useful in diagnosis of patien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by Rome Ⅲ criteria. KCI Citation Count: 4
ISSN:2234-8646
2234-8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