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록체 DNA (trnL-trnF, rps16-trnK) 염기서열에 의한 국내 민들레속 유전자원의 유전적 변이와 유연관계 분석

다양한 환경에서 수집한 국내 민들레속 유전자원 수집종의 엽록체 DNA 영역(trnL-trnF와 rps16-trnK)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내․ 간 변이 및 배수성을 구명하여 유전자원 육성의 기초 자료룰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민들레속 유전자원의 배수성은 털민들레,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가 3배체이고, 흰 민들레와 흰노랑민들레는 4배체였다. 염기서열의 길이는 trnLtrnF 영역에서 자생종류인 털민들레, 흰민들레, 흰노랑민들레 가 931 bp에서 935 bp, 서양민들레는 910 bp, 붉은씨서양민들레 는 975 bp로 종간 차...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韓國資源植物學會誌 2017, 30(5), , pp.522-534
Hauptverfasser: 류재혁, 유재일, 배창휴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다양한 환경에서 수집한 국내 민들레속 유전자원 수집종의 엽록체 DNA 영역(trnL-trnF와 rps16-trnK)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내․ 간 변이 및 배수성을 구명하여 유전자원 육성의 기초 자료룰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민들레속 유전자원의 배수성은 털민들레,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가 3배체이고, 흰 민들레와 흰노랑민들레는 4배체였다. 염기서열의 길이는 trnLtrnF 영역에서 자생종류인 털민들레, 흰민들레, 흰노랑민들레 가 931 bp에서 935 bp, 서양민들레는 910 bp, 붉은씨서양민들레 는 975 bp로 종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종 특이적 염기서열 88개, 자생종 및 귀화종 특이적 염기서열 41개가 검출되었다. rps16- trnK 영역은 털민들레 882∼883 bp, 흰민들레 875∼881 bp, 흰 노랑민들레는 878∼883 bp 서양민들레 874∼876 bp, 붉은씨서 양민들레는 847∼848 bp로 37개 종특이적 염기서열이 검출되 었다. 염기서열의 유사도는 trnL-trnF 영역에서 0.860∼1.000 사이로 평균 0.949이며, rps16-trnK 영역의 유사도는 0.919∼ 1.000 사이로 평균 0.967이었다.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trnL-trnF 영역은 크게 자생종류와 귀화종 류로 구분되었으며, 서양민들레와 붉은씨서양민들레는 같은 종 간에 유집되었고, 자생종류는 분리되지 않았으며, rps16-trnK 4개 그룹과 유집되지 않은 5개체로 나뉘었다. 흰노랑민들레는 두 영역 모두 흰민들레와 동일 계통군을 형성하였고, 염기서열 상 두 종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유연관계에서 모두 독립적으로 존재한 흰민들레 No. 10 (조계산)과 털민들레 1번(광양)은 민들레 유전자원 육성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genetic variation in 24 Taraxacum accessions from various region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sequences of two chloroplast DNA (cpDNA) regions (trnL-trnF and rps16-trnK). T. mongolicum, T. officinale, and T. laevigatum were triploid, and T. coreanum and T. coreanum var. flavescens were tetraploid. The trnL-trnF region in native Korean dandelions (T. mongolicum, T. coreanum, and T. coreanum var. flavescens) were ranged from 931 to 935 bp in length, and that of naturalized dandelions were ranged from 910 bp (T. officinale) to 975 bp (T. laevigatum) in length. The rps16-trnK region in T. mongolicum, T. coreanum, T. coreanum var. flavescens, T. officinale, and T. laevigatum was 882– 883 bp, 875–881 bp, 878–883 bp, 874–876 bp, and 847–876 bp, respectively, in length. The sequence similarity matrix of the trnL-trnF region ranged from 0.860 to 1.00 with an average of 0.949, and that of the rps16-trnK region ranged from 0.919 to 1.000 with an average of 0.967. According to the phylogenetic analysis, the Korean native taxa and naturalized taxa were divided independent clade in two cpDNA region. T. coreanum var. flavescens clustered only with T. coreanum,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nucleotide sequences. The finding that two accessions (T. coreanum; Jogesan, T. mongolicum; Gangyang) had a high level of genetic variation suggests their utility for breeding materials.
ISSN:1226-3591
2287-8203
DOI:10.7732/kjpr.2017.30.5.522